[리포트]
청와대의 이런 위기의식은 소득 양극화가 갈수록 심각해지고 있기 때문입니다.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의 소득이 역대 가장 큰 폭으로 하락했는데, 실제 저소득층의 소득을 들여다보니, 사상 최초로 근로소득보다 이전소득이 많아진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이게 무슨 의미인지, 지선호 기자가 설명해드립니다.
[기자]
대개 소득이라고 하면, 일을 해서 번 돈을 말하죠. 이게 근로소득입니다. 이전소득은, 일을 하지 않았는데 생긴 소득입니다. 정부가 저소득층에게 세금을 돌려주거나, 실업급여를 주는 것 등입니다. 부모와 자녀간에 생활비와 용돈을 주는 것도 이전소득입니다.
올해 1분기 소득 하위 20%의 소득을 조사했더니, 이전소득이 59만7000원, 근로소득이 47만2000원이었습니다. 이전 소득이 근로 소득보다 많아진 건 통계를 만든 이후 최초입니다. 이전소득은 작년보다 21.6%나 증가했습니다.
저소득층을 돕는 근로장려금이 가구당 최대 10%까지 늘었고요. 청년이나 신혼부부가 전세자금 대출을 받으면 이자를 지원해주는 제도도 확대됐습니다. 이에 반해 저서득층의 근로소득은 54만5000원에서 47만2000원으로 13.3%나 줄어들었습니다.
최저임금 인상으로 근로소득이 늘어날 줄 알았는데, 반대 현상이 생긴 거죠. 아르바이트 고용이나 임시직, 일용직 등 저소득층 일자리가 오히려 줄어든 탓이 큽니다.
저소득층이 월급은 줄고 국가 도움으로 버텨나가는 셈입니다. 하지만 이전소득으로 버티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입니다. 정부 곳간이 계속 가득차 있을 수는 없기 때문이죠.
이 때문에 최저임금 인상 대책에 속도 조절이 필요하다는 분석이 나옵니다. 기업과 자영업자들이 고용에 부담을 느껴서 오히려 저소득층 일자리가 줄고 결국 근로소득도 감소시키는 악순환을 피해야 한다는 겁니다.
TV조선 지선호입니다.
경제뉴스9
예상과 달리 빈곤층 근로소득 감소, 정부 도움으로 버텨
등록 2018.05.29 21:01
수정 2018.05.29 21:19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
이시각 주요뉴스
많이 본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