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9

[신동욱 앵커의 시선] 또 탁현민

등록 2020.05.27 21:49

수정 2020.05.27 21:58

이 강렬한 노래는 1970년대 록그룹 '스리 독 나이트'가 불러 히트했던 '쇼 머스트 고 온'입니다. 광대 같은 무대 위 삶에 지쳐 괴로워하면서도 "쇼는 계속돼야 한다"고 외칩니다.

"쇼는 계속돼야 해… 내 가슴이 찢어지고 분장이 지워져도 내 미소는 남을 거야…"

퀸의 프레디 머큐리도 숨지기 6주 전 마지막 노래에서 "나는 떠나도 쇼는 계속된다"고 했지요. 지난달 뮤지컬 거장 로이드 웨버가 코로나에 갇힌 세계인을 위로하기 위해 개설한 유튜브 채널도 '쇼 머스트 고 온'입니다. 극장은 문을 닫아도 쇼는 막을 내리지 않는다는 다짐대로 '오페라의 유령' 공연 실황에만 천만 명이 접속했습니다. '쇼는 계속된다'는 말은 '어떤 일이 닥쳐도 물러서지 않는다'는 의지의 표현으로도 쓰이곤 합니다.

탁현민씨가 청와대 선임행정관에서 물러난 지 1년 넉 달 만에 의전비서관에 내정됐다고 합니다. 사퇴 당시 그는 의전비서관 승진설에 대해 내 자리가 아니다. 걱정 안 해도 된다"고 잘라 말했습니다. 하지만 대통령 의전을 총괄하는 1급 핵심 비서관이 결국 탁현민의 자리로 돌아온 겁니다. 청와대 의전 책임자는 1968년 신설된 이래 대부분 전문 외교관이었습니다. 노무현 정부와 문재인 정부 초기에 대통령 측근이나 정계 출신이 맡기도 했지만 이벤트 기획자 기용은 유례가 없는 일입니다.

잘 아시듯 탁현민씨는 저열한 성 의식과 여성혐오 전력으로 논란을 일으키킨 바 있습니다. 관련해서 여성가족부 장관이 "청와대에 사퇴를 건의했다가 무력감을 느꼈다"고 털어놓기도 했습니다. 그가 행정관을 그만두겠다고 할 때는 임종석 비서실장이 "첫눈 올 때 보내주겠다"고 했다가 수도 없이 눈이 내리고서야 놓아줬지요.

'페미니즘 정부'를 자처하는 청와대가 굳이 그를 끝까지 중용하는 것은 대통령 신임이 그만큼 크다는 뜻이고 다른 사람이 대체할 수 없는 능력을 인정받았다는 뜻일 겁니다. 하지만 그가 기획했던 대통령 행사들은 야당으로부터 '예능 쇼 같은 보여주기 이벤트'라는 비판을 받았습니다. '소통이 아니라 쇼통'이라는 말도 수없이 나왔습니다. 쇼도 결국 소통을 위한 것인데 과연 그가 쇼의 적임자인지도 그래서 의심스럽습니다. 5월 27일 앵커의 시선은 '또 탁현민' 이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