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7

[뉴스야?!] 與 권리당원 게시판이 틀렸다?

등록 2021.09.05 19:33

수정 2021.09.05 19:41

[앵커]
뉴스야 시작합니다. 정치부 최지원 기자 나왔습니다. 첫번째 물음표 보죠.

[기자]
첫번째 물음표는 '與 권리당원 게시판이 틀렸다?'입니다.

[앵커]
권리당원은 당비를 내고 투표권을 부여받는 사람들인데, 통상 민주당은 권리당원들의 뜻이 당내 경선에 반영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엔 달랐다는 건가요?

[기자]
네, 지난달 28일부터 경선 당일인 4일까지 당원 게시판에 올라온 글들을 분석해봤습니다. 키워드를 이낙연으로 하면 13382개, 이재명으로 하면 1495건의 글이 검색됐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당의 핵심세력인 권리당원들은 이재명 후보보다는 이낙연 후보에 더 관심을 두고 있다는 이야기일텐데, 이번 충청도 경선 결과는 예상보다 더 격차가 벌어졌어요.

[기자]
사실 이낙연 후보측에서는 충청 경선에서 오차범위내 접전을 기대하는 분위기였고, 이재명 후보측에서도 이 정도로 큰 격차로 승리할 거라고는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특히 권리당원의 표차가 커서 전체 득표율이 더블스코어 수준으로 차이가 났습니다.

[앵커]
그런데 권리당원들은 주로 강성 친문 성향으로 볼 수 있고, 친문들은 이재명 후보 보다는 이낙연 후보를 지지해 오지 않았습니까?

[기자]
그렇죠. 당원게시판은 2019년 5월 이해찬 대표 때 만들어졌는데요. 개설 시작부터 친문과 비문을 갈라치기 하는 수단으로 변질됐다는 우려가 꾸준히 제기돼 왔습니다. 그 중심에 비문계로 꼽혔던 이재명 후보가 있었고요. 그런데 당시 반대급부이자 극렬 지지를 받은 친문 인물은 이낙연 후보가 아닌 김경수, 유시민 등 원조 친문 잠룡들이었습니다.

[앵커]
당시 이낙연 후보는 총리 신분이어서, 대선주자로 꼽히지 않았었죠. 결과적으로 보면 당시의 강성 지지층을 이낙연 후보가 오롯이 흡수를 못했다는 거군요.

[기자]
그런 추론이 처음 입증된 게 바로 어제 경선 결과였습니다. 이재명 후보 측은 "현재 당원게시판이 과다대표 돼있다"며 "지난 2012년 노무현 대통령 때부터 활동해온 1000~2000명 규모의 열성 지지층이 2017년 대선 경선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전면 공격했던 이재명 후보를 반대하며 당원게시판을 도배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현재 민주당 전체 권리당원 수가 70만 명 정도로 추산되는데, 저 말대로라면 이낙연 후보의 역전이 쉽지 않다는 추론도 해 볼 수 있을 겁니다.

[앵커]
그렇군요. 첫번째 느낌표 정리해보죠.

[기자]
'與 권리당원 게시판이 틀렸다?'의 느낌표는 '될 사람 밀어주는 與心!'으로 하겠습니다. 그동안 민주당 지지층은 본선 경쟁력이 높은 후보를 미는 성향이 강했습니다. 그런 경향은 특히 호남에서 강했는데, 어제 오늘 첫 경선에서는 충청에서도 비슷한 현상이 있었습니다. 정권을 빼앗길 수도 있다는 위기감과 절박감이 될 사람을 밀어주는 여권의 전략적 투표 성향과 맞물리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는데, 야권의 긴장감도 그만큼 커질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네 두번째 물음표로 가보죠.

[기자]
두번째 물음표는 '이준석, 연좌제 논란?'입니다.

[앵커]
이준석 국민의힘 대표 부친이 17년 전 제주도에 600평 규모의 밭을 매입해놓고 경작을 하지 않아 농지법 위반 의혹이 불거졌는데, 본인도 사과하고 인정했죠?

[기자]
그렇습니다. 민주당은 즉각 "부친의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은 윤희숙 의원 사퇴에 유독 관대했던 게 동병상련 심정 때문이었냐"면서 똑같은 사례라고 지적했습니다.

[앵커]
결국은 연좌제 논란으로 번지는 분위기에요.

[기자]
네, 특히 이 대표의 경우 부친이 땅을 매입할 당시 만 18세 미성년자여서 투기를 알 수도 없었다는 거죠. 윤석열 후보의 장모 관련 의혹 때 이 대표는 이런 말을 했습니다.

이준석 / 국민의힘 대표 (7월 5일)
"우리나라 헌법 13조 3항에 보면 연좌제를 정확히 금지하고 있거든요. 대선에서 연좌제를 하지 말자는 말은 과거 민주당에서 먼저 꺼냈던 이야기거든요"

[앵커]
사실 연좌제는 건국 초기부터 권위주의 시절까지 부모의 잘못을 대물림하는데 악용된 경우가 있어서 진보 진영에서는 특히 금기시해오지 않았습니까.

[기자]
네, 민주당은 조국 전 장관 딸 입시 비리 논란이 불거졌을 때도 연좌제는 안 된다고 강하게 주장한 바 있습니다.

정성호 / 더불어민주당 의원 (2019년 9월)
"조국 청문회인지 또는 법무부 장관 후보자 조국의 딸과 아내의 청문회인지…대한민국 헌법이 연좌제를 금지하고 있습니다"

이인영 / 당시 더불어민주당 원내대표 (2019년 8월, 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
"굳이 후보자가 증언해도 되지 않는 사안을 가족을 불러내 증언하라, 이렇게 하는 것은 정치적 연좌제에 해당하지 않겠습니까?"

방역당국 권고에도 요트 여행을 떠난 강경화 전 장관 남편 논란 때도 박범계 당시 의원은 "가족의 책임을 연결하는 건 반대한다"고 했습니다.

[앵커]
결국 연좌제도 내로남불이다, 이런 비판을 피해갈 수 없는 지점이군요. 그런데 민주당 의원들도 권익위 조사로 농지법 위반 의혹을 받은 의원들이 여전히 자리를 지키고 있지 않습니까?

[기자]
모두 5명 있었는데, 그 중 모친의 기획부동산 투기 의혹을 받은 양이원영 의원 등은 연좌제가 불합리하다고 반발하면서도 제명이 되자 윤희숙 의원도 똑같이 적용돼야 한다며 공세를 편 바 있습니다.

[앵커]
억울하지만, 나만 당할 수 없다는 논리군요. 상황에 따라 입장이 뒤바뀌는 정치권, 이쯤되면 서로에게 삿대질을 하기보다 현실에 맞지 않는 법 조문을 수정하는 게 더 맞지 않나 싶습니다. 두번째 물음표도 정리해보죠.

[기자]
'이준석 연좌제 논란?'의 느낌표는 '부친 때문에 대표직을 버리란 말이냐!'로 하겠습니다. 과거 장인이 좌익활동을 한 전력이 논란이 되자, 노무현 전 대통령이 "그럼 아내를 버리라는 것이냐"고 하면서 정면돌파한 장면, 많이들 기억하고 계실 겁니다. 정치라는 게 정파적 이해로부터 자유로울 순 없겠지만, 유독 현 여권에서는 나와 남에게 적용하는 기준이 달라서 문제가 된 경우가 많았습니다. 자라나는 미래세대가 이런 모습을 그대로 따라 배운다면 대한민국의 미래가 그리 밝을 수 없다는 점에서 정치권의 고민이 좀더 필요해 보입니다.

[앵커]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