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7

[뉴스야?!] 尹-이준석, 악연의 발단?

등록 2022.08.14 19:40

수정 2022.08.14 19:50

[앵커]
뉴스야 시작합니다. 정치부 한송원 기자 나왔습니다. 첫 번째 물음표 볼까요?

[기자]
네, 첫 번째 물음표는 ‘악연의 발단?’입니다.

[앵커]
윤석열 대통령과 이준석 대표가 보이는데, 어제 이 대표 회견을 기점으로 이제 함께 가기는 어려워진 것 같습니다. 그런데 그 발단이 있다고요.

[기자]
네, 두 사람은 원래 야당 대표와 유력 대선주자로서 관계가 나쁘지 않았습니다. 이렇게 보시는 것처럼 지난해 여름 치맥회동 이후 손깍지까지 끼고 거리를 활보할 정도였죠. 그리고 사흘 뒤엔 윤 대통령 자택 인근에서 비밀회동까지 하며 입당 논의를 했는데, 두 차례 '유출 사태'가 발생하면서 감정이 어긋나기 시작했습니다.

[앵커]
'유출 사태'라고 하면 어떤 건가요.

[기자]
당시 '윤석열 후보의 입당 날짜'가 한 매체에 사전 보도가 된 건데, 평소 이 대표와 가까운  걸로 알려진 쪽에서 기사가 나와서 유출 공방이 있었습니다.

[앵커]
그래서 그때 윤석열 후보가 기존에 정해진 날짜보다 당겨서 기습입당을 했고, '이준석 패싱' 논란도 있었던 기억이 나네요.

[기자]
어쨌든 입당은 했고, 두 사람 모두 서로가 필요한 상황이었기 때문에 그럭저럭 넘어갈 수 있었지만, 그즈음 윤 대통령이 이 대표에 대한 기대를 완전이 접어버리게 된 계기가 있었다고 합니다.

[앵커]
어떤 일이었죠.

[기자]
바로 통화내용 유출 논란인데요. 두 사람의 통화 내용이 녹취록 수준으로 정리가 돼서 언론에 돌게 된 건데, 윤 대통령과 오랫동안 함께 호흡을 맞춰온 참모들에 따르면 "대통령 후보와 당 대표가 통화한 내용이 녹음이 된데다, 그 녹취록이 외부에 떠도는 상황을 윤 대통령 입장에선 도저히 이해하기 어려웠다"고 합니다. 그때부터 이 대표를 더 이상 신뢰하기 어려웠던 겁니다.

[앵커]
어제 회견을 보니 이 대표는 그 부분이 좀 억울한 것 같더라고요.

[기자]
그 외에도 여러 유출 논란이 있었기 때문에 종합해서 반박을 하긴 했지만, 본인도 초창기엔
변수를 통제하지 못했다고 인정했습니다.

이준석 / 국민의힘 대표 (어제)
"이 모든 오해의 근원이 되었던 과거 이미 1년이 넘은 패싱 입당이라던지 이런 것들. 전부다 제가 정보를 유출했다는 그런 오해 속에서 시작된 갈등들이었습니다."

[앵커]
네, 어쨌든 그런 유출 논란이 갈등의 시작이란 건 이 대표도 인식을 하고 있군요. 되돌아보면 당시 이 대표가 '윤핵관'이란 표현도 만들어서  대치를 이어갔죠.

[기자]
'윤핵관 규탄'이란 명분을 내걸고 사실상 당무를 거부한 채  전국 순회를 한 뒤 이른바 '울산 회동'으로 극적 화해를 했고, 연말엔 대선 공보단장이던 최고위원을 비판하며 선대위를 물러났다가 겨우 봉합이 됐습니다. '윤핵관 그룹'은 계속 이 대표를 향해 공세를 이어갔고요.

[앵커]
그러다  결국 이렇게 극단적으로 갈라선 모양새가 됐는데, 그건 결정적 요인이 있을까요.

[기자]
그동안은 감정 싸움의 측면도 좀 있었겠지만, 이번엔 권력투쟁 양상으로 갔기 때문입니다. 윤 대통령 취임 이후 오뉴월에 걸쳐 이 대표가 당협위원장 임명을 추진했는데, 내후년 총선을 앞두고 이 대표가 미리 세력을 구축하려는 것 아니냐는 의혹이 일었습니다. 여기에 혁신위를 꾸려 '공천 제도'까지 직접 언급하니까, '미래 권력'을 놓고 대통령과 당 대표가 사실상 정면충돌할 수밖에 없게 된 겁니다.

이준석 / 국민의힘 대표 (6월 12일)
"총선의 가장 중요한 여당의 지점은 공천이다, 그래서 그것을 시스템화하는 것에 상당한 정권의 성패가 달려있다고 저는 확신합니다"

[앵커]
첫 번째 물음표 정리해보죠.

[기자]
첫 번째 물음표 ‘악연의 발단?’의 느낌표는 ‘헤어질 결심!’으로 하겠습니다. 이른바 내부총질 문자 논란에 이어 어제 이 대표의 회견으로 두 사람은 건널 수 없는 강을 건넌 셈이 됐습니다.

[앵커]
네. 두 번째 물음표 볼까요?

[기자]
두 번째 물음표는 ‘검수완박 아닌 검수완강?’ 입니다.

[앵커]
검찰 수사권을 완전 박탈하는 검수완박이 한동훈 법무장관이 발표한 시행령을 통해 사실상 무력화되는 양상인데, '검수완강'은 또 무슨 뜻인가요.

[기자]
단순히 무력화나 원점이 되는 걸 넘어서 오히려 검찰 수사권이 강화될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아시다시피 민주당이 추진한 검수완박법이 '중'이란 한 글자를 '등'으로 수정하면서 큰 반전이 된 건데, 이 한 글자 때문에 검찰 수사 범위가 이전보다 더 확대될 수 있다는 겁니다.

[앵커]
'등'이란 한 글자에 시행령을 고치면 그게 그렇게까지 가능한 건가요.

[기자]
원래 지난해 검경수사권 조정 때 검찰은 6대 범죄만 수사를 개시할 수 있었습니다. 그래서 그동안 검찰이 수사를 하다가 무고나 위증같은 범죄를 인지하더라도 검찰로선 수사를 시작할 수가 없었습니다. 일선 검찰 반발이 거셌는데, 이번에 한동훈 장관 발표를 보면 '등'이라는 의미에 사법 질서를 해치는 무고나 위증 범죄도 추가를 했습니다. 결국 기존 6대범죄보다도 범위가 늘어난 셈입니다.

한동훈 / 법무부 장관 (지난 11일)
"국가가 허위 고소를 한 사람들을 수사 하지 않는 것은 허위 고소를 부추기는겁니다. 국가가 도대체 왜, 누구를 위해서 그래야 합니까?"

[앵커]
법안에서 한 글자가 이렇게 중요하다는 걸 다시 한 번 느끼는데, 민주당은 당시에 이런 상황을 예측 못했던 겁니까.

[기자]
아닙니다. 입법 과정에서 민주당 소속 법사위원들이 '등'이란 표현의 허점을 지적했는데, 워낙 검수완박 강행에 대한 국민 여론이 안 좋다보니까 여야 협상에서 다소 물러섰던 측면도 있습니다.

박주민 / 더불어민주당 의원 (4월 26일)
"'등'이라는 단어가 그동안에도 계속 논란이 되어왔었거든요. 마치 그럼 6대 범죄가 아니라 7대 범죄, 8대 범죄, 9대 범죄도 할 수 있는 것처럼 해석이 돼서…"

[앵커]
박주민 의원은 지금 이런 검수완강 상황까지도 예견을 했군요.

[기자]
네 그래서 한동훈 장관은 "민주당이 만든 법대로 한 것"이라며 적극적으로 시행령 개정안 취지를 알리는 중입니다. 민주당 김남국 의원이 "민생이나 잘 챙기라"고 비판하니까, 한 장관은 "서민 착취하는 깡패 수사나 서민 울리는 보이스피싱 수사하는 것이 진짜 민생 챙기는 것"이라고 맞받아치기도 했습니다.

[앵커]
법사위 몸싸움까지 이어졌던 ‘검수완박법’이 끝까지 이렇게 논란이 되는군요. 두 번째 물음표 정리해보죠.

[기자]
‘검수완박 아닌 검수완강?’의 느낌표는 ‘농교성졸!’로 하겠습니다. 지나치게 기교를 부리다 도리어 서툴게 된다는 뜻입니다. 한마디로 꼼수 부리지 마라는 건데, 검수완박 독주를 이어가며  이런저런 꼼수를 썼던 민주당이나, 이걸 또 시행령으로 받아친 현 정부 모두 합의 정신을 되새겨봤으면 합니다.

[앵커]
한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