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뉴스9

[CSI] "30년 경력" 홍보 뒤 계약금 챙겨 '잠적'…재능거래 피해 주의보

등록 2022.09.19 21:34

수정 2022.09.19 21:40

[앵커]
이사, 청소부터 번역, 통역까지 각 분야 전문가와 소비자를 직접 연결해주는 플랫폼이 인기입니다. 전문영역이지만, 배달 음식 주문처럼 원하는 대로 고를 수 있어 한 해 거래가 2천만 건이 넘을 정도로 급성장중인데요, 꼼꼼히 살펴보시고 선택하셔야 겠습니다. 계약금만 받고 달아나거나 수준 이하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피해가 잇따르고 있습니다.

소비자탐사대 정은아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해 12월 생활용품점 개업을 앞두고 재능거래 플랫폼으로 내부 공사를 계약했던 백상철 씨는 계약금 1,200여만 원을 고스란히 날렸습니다.

30년 경력이라던 업자가 공사 닷새 만에 사라져 연락을 끊었습니다.

백상철 / 인테리어 업체 피해자
"여기 도배 안 돼 있고 바닥 안 돼 있고. 오픈(개업) 미뤄진 게 최소 2주죠."

1월 같은 플랫폼에서 집 청소 업체를 찾은 유 모 씨도 계약금 10만 원을 입금한 뒤 업체와 연락이 두절됐습니다.

유 모 씨 / 청소 업체 피해자
"이사 5일 전에 전화를 안 받는 거예요. 사업장을 쳐봐도 나오지도 않고."

플랫폼 업자에 피해 사실을 신고했지만, 돌아온 답변은 "당사자 간 거래는 책임지지 않는다" 였습니다.

배달 플랫폼처럼 '통신판매중개업자'로 분류돼 개인 간 맺은 서비스 계약상 의무와 책임도 당사자에 있다는 겁니다.

계약대로 거래가 이뤄졌다고 소비자가 승인해야 공급자가 대금을 찾아가도록 하는 '안전 결제'서비스도 있지만, 의무화한 곳은 조사 대상 업체 3곳 중 1곳이었습니다.

안전 결제 서비스를 의무화하지 않은 플랫폼업체 측은 "고객이 별도의 수수료를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안전 결제를 의무화하지 않았다"고 해명했습니다.

올들어 지난달까지 재능거래 플랫폼 관련 소비자원에 접수된 피해구제 신청 건수는 모두 31건. 이미 지난해 연간 접수건수를 넘어선 건데, 5년 전에 비해 5배 이상 늘었습니다.

일각에선 재능거래 플랫폼이 별 규제도 없이 사실상 방치됐단 지적도 나옵니다.

이영애 / 인천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소비자) 권리가 침해되는 요소들이 되게 많고 리스크(위험)가 있는 거죠."

재능거래 플랫폼 피해가 더 늘기 전에 대책 마련이 시급하단 지적입니다.

소비자탐사대 정은아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