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뉴스9

[따져보니] 소방관 '순직·부상' 10년 새 3.2배…"우린 누가 구해주나요"

등록 2024.02.02 21:25

수정 2024.02.02 22:31

[앵커]
인명을 구조하던 소방관들의 안타까운 희생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안전 대책이 시급하다는 말은 매번 나오는데 왜 사고가 반복되는지 따져 보겠습니다. 홍혜영 기자, 소방관들 사고가 얼마나 자주 일어납니까?

[기자]
네, 업무 현장에서 숨지거나 다치는 소방관은 계속 늘고 있는데요. 지난 2013년 300명대에서 지난해에는 1336명으로, 10년 사이 3배 이상 증가했습니다. 이 가운데 순직한 소방관은 이번 문경 화재 현장 희생자 2명을 포함해 45명에 이릅니다. 한 해 4명 꼴로 직무를 수행하다 목숨을 잃은 겁니다.

[앵커]
왜 이렇게 계속 늘어나는 겁니까?

[기자]
위험한 현장에 무방비로 노출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인데요. 이번에도 붕괴 위험이 있었는데 소방관들이 무리하게 투입됐다는 말이 나왔습니다. 그런데 화재 현장 지휘 절차를 보면 대원들의 안전을 위협하는 요소를 파악하는 게 1순위입니다. 구조 대상자가 있는지는 그 다음 순위로, 현장 지휘관은 소방대원의 안전을 가장 우선시 해야 합니다. 하지만 막상 현장에서는 그렇지 못하다는 게 소방관들의 설명입니다.

[앵커]
대응 절차도 있는데, 왜 안 지켜지는 겁니까?

[기자]
네, 미국의 규정만 봐도 왜 우리는 안 되는지 알 수 있는데요. 투 인 투 아웃이라고 해서, 현장에는 최소 2명이 같이 들어가 서로 볼 수 있거나 목소리로 교신할 수 있는 거리에 붙어 있어야 하고 밖에는 최소 2명의 예비대원이 따로 있어야 한다고 돼 있습니다. 유사시에 동료 소방관을 구할 구조팀이 반드시 있어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우리 규정에는 이런 게 없습니다. 워낙 인력이 부족하다보니 그냥 현장 재량에만 맡기는 겁니다.

이창석 / 소방노조 사무총장
"이런 큰 재난 현장에서는 전부 다 자기 일을 하기 바쁩니다. 동료를 구출하기 위한 임무가 주어지지 않는 한은 대기를 한다거나 장비를 점검한다거나 그렇게 할 수가 없습니다. 위험에 빠졌을 때는 저희를 구출해 줄 수 있는 그런 구조대원이 없는 거죠."

[앵커]
답답하군요. 정부나 정치권은 뭐하고 있는 겁니까?

[기자]
그렇지 않아도 여야가 부랴부랴 대책을 내놨는데요. 국민의힘 한동훈 위원장은 소방관들의 위험 수당을 현실화 하겠다고 했고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수색·구조에 필요한 무인 로봇 개발을 지원하겠다고 했습니다. 그런데 이거, 다 나왔던 것들입니다. 위험수당은 행안부가 올해 안에 2배로 올리겠다고 했고 첨단 장비 도입은 문재인 정부 시절 약속했던 겁니다. 인력 부족이라는 근본적인 문제는 놔두고 정치권이 면피용으로 재탕 대책만 내놓는다는 비판이 나옵니다.

[앵커]
물론 목숨 걸고 인명을 구조하는 게 소방관의 임무겠습니다만 이들의 안전은 우리가 지켜야 하지 않겠습니까? 대책 마련이 시급해 보이네요. 홍혜영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