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7

대통령이 불붙인 김원봉 논란…통합 강조했지만 정쟁 부추겨

등록 2019.06.08 19:12

수정 2019.06.08 19:21

[앵커]
문재인 대통령이 현충일 추념사에서 언급한 김원봉이 정쟁의 대상이 되고 있습니다. 정치부 서주민 기자와 함께 관련 내용 더 얘기 나눠보겠습니다. 서 기자, 문 대통령의 말 한 마디가 왜 이렇게 파장이 커진 것입니까? 

[기자]
문 대통령의 발언 전체를 보면 취지 자체가 이해가 안 가는 건 아닙니다. 활약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외됐었던 무정부주의 독립운동 진영과 좌파 독립운동 진영의 공을 인정하자는 것이었으니까요. 다만 그 과정에서 굳이 김원봉이라는 이름을 언급했어야 했나 라는 의문이 생깁니다.

[앵커]
시기와 장소가 현충일 추념식이었다는 점 때문이겠죠?

[기자]
그렇습니다. 물론 현충일이 6.25 전쟁 때 숨진 선열들 뿐 아니라 독립운동가, 순직 경찰과 공무원들도 함께 기리는 날이긴 합니다. 하지만 추모 대상 상당수가 6.25 전사 군인인데, 6.25 전쟁에서 공훈을 세웠다며 김일성으로부터 훈장까지 받은 김원봉을 거론하면서 피해자들 앞에서 가해자를 언급한 셈이 됐습니다. 

[앵커]
청와대는 대통령이 통합을 강조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있죠? 

[기자]
네, 하지만 실제는 그 반대입니다. 역사적 평가가 엇갈리는 인물을 대통령이 직접 끄집어내면서 가뜩이나 통합이 안되는 여야를 더 갈라놓은 상황이 돼버린 겁니다.

[앵커]
야당의 반발이 이렇게까지 거센 이유는 뭔가요? 

[기자]
대통령의 발언이 김원봉에게 서훈을 주기 위한 정지작업이라는 의심 때문입니다. 물론, 청와대는 대통령 발언과 서훈은 별개라는 입장이입니다. 하지만 항일독립운동단체들이 오는 8월부터 11월까지 전국 대도시를 돌며 김원봉의 서훈을 추진하는 대국민 서명운동을 전개하기로 하는 등 대통령의 발언을 계기로 실제로 서훈 추진 움직임이 일고 있습니다. '조선의열단 창단 100주년 기념사업'의 일환인데요. 정부도 이번 기념사업을 지원하는 방안을 긍정적으로 검토한다는 입장이어서 또 다른 파장이 예상됩니다. 

[앵커]
현행 규정상으로는 서훈을 받을 수 없게 돼있죠? 

[기자]
네, 물론 사회주의운동을 했더라도 북한 정권 수립에 직접 기여하지 않으면 서훈을 받을 수 있도록 지난해 국가보훈처 규정이 바뀌었습니다. 하지만 김원봉은 해방 이후 북으로 가 북한 노동상과 최고인민회의 상임위 부위원장 등 북한의 최고위직을 맡았습니다. 김원봉이 북한 정권 수립에 기여했다고 볼 수 있는 대목입니다. 

[앵커]
일각에선 북한과의 이념 경쟁이 끝났으니 좌파 독립운동자들에 대한 평가도 보다 포용적으로 바뀌어야 하는 것 아니냐는 의견도 있지 않습니까?

[기자]
일리가 있는 얘깁니다. 하지만 문제는 6.25 전쟁으로 부모와 형제를 잃은 피해자들이 여전히 생존해 있다는 점입니다. 김원봉이란 인물이 독립 활동에 기여한 몫 못지 않게 6.25 전쟁 때 북한 지도자였다는 역사적 사실도 여전히 간과 돼선 안되는 이유입니다. 게다가 그 논의가 학계가 아닌 대통령의 언급에서 시작되는 게 과연 옳은 일인지는 분명 생각할 부분이 있는 것 같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