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전체

[취재후 Talk] 정치인 안철수, 지금 그에게 필요한 것은

등록 2021.04.20 13:52

수정 2021.04.20 13:54

[취재후 Talk] 정치인 안철수, 지금 그에게 필요한 것은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 / 연합뉴스

"어떤 일을 선택할 때는 과거를 잊어버리는 것이 중요하다. 과거에 아무리 커다란 성공을 하였든 혹은 치명적인 실패를 하였든 간에 그런 것들은 중요하지 않다. 항상 현실에 중심을 두고 미래를 생각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 김영사, 2004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CEO 시절' 자서전에 언급한 삶의 교훈이다. '과거'보다 '현실'에 중심을 두고 살자는 말이다. 그런데 정치적 입지가 좁아져 조급해진 안 대표는 최근 '현실'을 부인하기 시작했다. '과거'에 비해 줄어든 영향력을 받아들이지 못하고, 내뱉었던 말을 번복하는 상황도 반복되고 있다.

◆ "대선에 출마하지 않겠습니다" 라더니
안 대표는 지난해 12월 20일 서울시장 보궐선거 출마를 공식 선언했다. 수십 명 기자들이 국회 소통관에 몰렸다. 회견문 낭독이 끝나자 곧바로 '대선 출마를 접은 것이냐'는 질문이 쏟아졌다. 손에 들고 있던 태블릿PC를 바라보던 안 대표가 고개를 치켜들고 눈을 부릅 떴다. 안 대표는 "대선을 포기하고 시장 출마 결심을 한 것"이라고 말했다.

안 대표는 지난해까지 차기 대선에 발걸음을 맞춰 걸어왔다. 서울시장 출마선언 직전 언론 인터뷰들에서도 "서울시장 선거는 절대 안 나간다"고 했다.

하지만 3%대의 대선후보 지지율과 의석 수 3석이라는 한계를 극복하지 못했다. '말 뒤집기' 논란에도 서울시장 선거 출마라는 '승부수'를 던진 셈이었다. 존재감이 흐릿해진 상황에서 서울시장에 당선될 경우 다시 유력 대선 후보로 부상할 수 있다는 점도 고려했을 것이다.

그랬던 안 대표가 최근 다시 또 한 번 말을 뒤집었다. 안 대표 최측근인 국민의당 이태규 사무총장은 지난 19일 라디오에 출연해 "야권 대선후보를 선출하는 과정에서 안 대표가 빠진다면 흥행이 별로 안 될 것"이라고 말했다. 넉 달 전 '대선 불출마 선언'을 번복하는 발언이다.

이 사무총장이 '개인 의견'이라는 전제를 달긴 했지만, 넉 달 전 대선 불출마 선언을 하며, 부릅 떴던 안 대표 눈빛이 떠올랐다.

◆ 윤석열에 빼앗긴 '중도' 표심
'대선 후보 안철수'에 대한 최근 여론은 냉랭하다. 윤석열 전 검찰총장이 범야권 대선주자 1위로 떠오른 이후 안 대표 지지율은 줄곧 한 자릿수를 맴돌았다.

이런 현상에 대해 국민의힘의 한 중진 의원은 "윤 전 총장의 지지층이 안 대표 지지층과 겹치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안 대표는 국민의당 창당 이후 제3지대의 '중도' 가치를 특별히 강조해왔다. 안철수에게 '중도'는 떼려야 뗄 수 없는 수식어였다. 안 대표를 유력 대권주자로 끌어올리는 데도 중도층의 지지가 주효했다. 하지만 이제 중도는 안 대표를 지지하지 않는다. 최근 여론조사에서 40%가 넘는 중도 성향 유권자가 윤 전 총장을 지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 대표는 지난달 22일 보수 유튜브에 출연해 '총선 부정선거'를 주제로 토론했다. '총선이 부정선거가 맞느냐'는 사회자 질문에, 안 대표는 "결정적 증거는 선관위와 정부가 갖고 있다. 조사해야 한다"고 답했다. 국민의힘에서도 거리를 두고 있는 부정선거 의혹을 '중도'·'합리'·'새정치'를 강조해 온 안 대표가 받은 것이다. 조급해진 안 대표 상황을 단적으로 보여준 사례다.

안 대표가 '현실'을 인식하지 못하고, '과거' 영광에만 매달려 있다면, 야권 통합은 이뤄질 수 없다. 국민의힘 한 의원은 기자와의 통화에서 "합당의 가장 큰 과제는 안 대표의 대선 포기"라고 말했다. 안 대표가 대선 출마만 포기한다면, 합당에 장애물이 될 요소는 없다는 뜻이다. 안 대표는 분명 넉 달 전 대선을 포기했었는데 이상한 일이다.

서두에 "항상 현실에 중심을 두고 미래를 생각하는 마음가짐이 필요하다"고 적었다는 안 대표의 저서 제목은 'CEO 안철수, 지금 우리에게 필요한 것은'이다. 지금 정치인 안철수에게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 / 이태희 기자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