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어린이 장난감 등에서 환경 호르몬이 검출돼 리콜한다는 소식을 자주 전해드립니다만, 이런 리콜 대상 제품들이 시장에서 버젓이 계속 팔리고 있습니다. 정부가 리콜 조치를 발표한뒤 리콜이 제대로 되는지 감독을 잘하지 않기때문입니다.
윤해웅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울의 한 대형 장난감 매장. 환경호르몬이 기준치의 160배나 나와 리콜 명령을 받은 제품이 진열돼 있습니다. 전량 회수돼야 하는 제품이 버젓이 팔립니다.
업체는 착오가 있었다고 발뺌합니다.
업체 관계자
"저희는 공문을 다 보냈고 거기서 잘 몰라서 그렇게 했거나 실수를 한 것 같아요."
유아용 전동차 업체의 제품 창고, 지난해 12월 리콜 명령을 받은 오토바이가 그대로 있습니다. 리콜 조치가 끝날 때까지 판매가 금지되지만 업체는 개의치 않습니다.
매장 관계자
"저희가 손님이 오시면 교체를 해서 판매를 해요 안장만."
리콜이 제대로 시행되는지 감독해야할 당국은 인력 타령만 합니다.
신상훈 / 국가기술표준원 사무관
"2~3명의 직원들이 이 업무에 매달리고 있습니다만 매월 쏟아지는 제품 수량을 감안했을 때 많이 부족한 상황이죠."
리콜 명령을 따르지 않아도 과태료 200만원 뿐. 이렇다보니 최근 3년간 리콜 제품 회수율은 절반을 밑돕니다.
김영훈 / 바른사회시민회의 경제실장
"과태료 금액이 기업 입장에서 리콜을 하지 않는 것보다 훨씬 이득일 경우에는 제재의 실효성이 없거든요."
말뿐인 리콜 명령에 소비자들의 안전은 여전히 뒷전입니다.
TV조선 윤해웅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