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정치

[종합뉴스 9] 건국절 왜 논란되나…文 경축사 '베를린선언' 닮은꼴

등록 2017.08.15 21:27 / 수정 2017.08.15 21:38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문재인 대통령의 8·15 경축사로 건국절 논란이 재점화됐습니다. 사실 문명국에 건국기념일 혹은 건국절이 없는 나라는 없습니다. 건국절을 둘러싼 정치권의 인식 차이와 오늘 경축사에 담긴 의미를 분석해 보겠습니다. 정치부 신정훈 기자 나왔습니다.

신 기자, 여야가 보는 대한민국 건국일은 왜 이렇게 서로 다른 겁니까?

[기자]
대한민국의 정통성이 어디 있느냐를 두고 여야의 시각이 근본적으로 다르기 때문입니다. 현 여권과 진보 진영은 1919년 세워진 임시정부와 임정을 이끌었던 김구 선생을 대한민국 뿌리이자 정통성의 중심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 대통령이 오늘 경축식에 앞서 김구 선생 묘역을 참배한 것도 이 때문이구요.

반면 야권과 보수진영은 광복 이후인 1948년 정부수립과 초대 이승만 대통령에서 대한민국 체제가 실질적으로 시작됐다고 보고 있습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점은 이승만 전 대통령이 1919년 임시정부의 초대 대통령을 지냈다는 겁니다. 역사적으로 이승만과 김구를 분리해서 보는 시각이 많지만 실제로는 두 사람 모두 독립과 건국의 주역들입니다.

[앵커]
김대중-노무현 정부에선 1948년을 건국일로 보지 않았나요? 

[기자]
당시에도 논란이 있었지만 공식 행사에선 일단 1948년의 의미를 인정했습니다. 김대중 전 대통령은 1998년 광복절 경축사에서 '건국 50년의 시점'이라 했고요, 노무현 전 대통령도 광복절 경축사에서 1948년 8월15일에 민주공화국을 세웠다고 했습니다.

[앵커]
향후 검정 교과서에서도 논란이 되겠네요? 

[기자]
네. 박근혜정부 국정교과서에서 1948년을 건국으로 명시해 진보 학계에서 반발했었죠. 문재인 정부가 2020년 도입하기로 한 검정 역사교과서에서도 논란은 불가피해 보입니다. 이 문제는 대통령이나 정치권이 나서서 규정을 지으려 하기 보다는 학계에서 시간을 갖고 논의할 필요가 있어 보입니다.

[앵커]
오늘 문 대통령 경축사 내용이 지난달 베를린선언과 큰 차이가 없어 보여요? 

[기자]
문 대통령이 6월 한미정상회담과 7월 베를린 선언에서 강조한 내용은 북핵 문제 해결을 한국이 주도하겠다는 건데요. 오늘 문 대통령 경축사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문 대통령은 또 북한이 거부한 이산가족 상봉과 평창올림픽 참가도 오늘 재차 제안했습니다.

[앵커]
남북대화도 여전히 강조했죠? 

[기자]
네. 문 대통령은 오늘 "모든 것을 걸고 전쟁을 막겠다"고 했습니다. 그러면서 북한에 대해선 "제재와 압박의 목적도 대화를 위한 것"이라고 했는데요. 대화를 거듭 강조한 겁니다. 하지만 야당에선 군사적 힘 대결이란 현실을 외면한 채 대화와 외교만으로 북핵 문제를 해결하겠다는 것은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