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경제

[따져보니] 김현미 "집값 11% 올랐다"…어느 지역일까

등록 2020.07.24 21:23 / 수정 2020.07.24 21:35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김현미 국토부 장관이 어제 국회 답변에서 현 정부들어 집값이 평균 11% 올랐다고 했습니다. 야당, 시민단체들이 일제히 "국민을 기만했다"고 반발하고 있는데 김 장관의 말이 맞는 건지 아니면 야당의 주장처럼 국민을 기만한건지 다시 한번 따져봐 드리겠습니다.

윤슬기 기자, 실제로 문재인 정부 들어 집값이 11%밖에 안 오른 지역이 실제로 있습니까? 

[기자]
김 장관은 한국감정원 통계를 근거로 집값 11% 상승을 주장했죠. 그래서 똑같이 한국감정원 통계, 그 중에서도 소비자들이 가장 체감하는 매매가격을 골라 2017년 5월부터 지난달까지 지역별로 얼마나 변동했는지 계산해 11% 상승 지역을 직접 찾아봤습니다. 아파트의 경우, 2017년 5월 대비 지난달 기준, 매매가가 11% 뛴 곳은 수도권에선 안산시가 유일했습니다. 그리고 부산 서부산권과 대구 서구, 충남과 경남의 일부 지역 등 감정원 자체 조사 단위상 모두 7곳으로 나타났습니다.

[앵커]
그럼 다른 곳은 어떻습니까?

[기자]
같은 기간, 서울이 52%, 경기가 34%, 부산이 14% 뛰었습니다. 상승률 최고 지역은 성남시 수정구로 약 150% 올랐고, 서울 종로구, 세종시가 그 뒤를 이었습니다. 반면, 매매가가 가장 떨어진 곳은 경기도 여주시로 17% 하락했고 최고 하락 지역 10곳중 8곳이 보시다시피 경북과 경남 지역이었습니다. 종합하면, 문재인 정부 출범후 전국의 아파트 평균 매매가격은 약 2억8천만원에서 3억7천만원으로 31% 뛴 것으로 집계됩니다.

[앵커]
수도권은 물론이고 대도시를 기준으로 하면 훨씬 더 많이 올랐겠군요? (그렇다고 봐야 할 것 같습니다.) 그럼 김현미 장관은 대체 뭘보고 이런 답변을 한 겁니까?

[기자]
앞서 저희는 전국의 아파트 매매가를 분석했지만, 김 장관은 아파트 외에 연립, 단독 등 서울지역 모든 주택값 상승의 평균치를 인용했다는게 다른 점인데요 전문가 얘기 들어보실까요?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
"집값이라고 하면 아파트 가격을 의미하거든요. 단독이나 다가구나 묶어서 설명하는 것은 옳지 않고요. 지금 시장에 혼란을 주는 요인 중에 하나가 사실은 정부가 발표하는 통계.."

[앵커]
그럼 아파트만 기준으로 한번 보지요 감정원이 아파트값만 따로 낸 통계는 없습니까?

[기자]
있습니다. 국토부는 감정원 조사를 근거로 최근, 서울 아파트값이 문재인 정부 출범후 14.2% 올랐다고 발표했습니다. 그런데 최근 아파트 값 상승폭을 조사 발표한 경실련은 이 14.2%가 도대체 어디서 나온 수치인지 알수 없다는 입장입니다.

[앵커]
김 장관이 언급한 11%란 통계가 근거는 분명히 있지만, 국민들 체감과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것만은 분명해 보이군요. 윤슬기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