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정치

'文-與 지지율' 동반 급락…이유는 '秋風'

등록 2020.12.03 21:21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물론 집권 후반기라고는 하지만 40% 밑으로 내려간 대통령 지지율은 향후 국정운영에 상당한 부담이 될 수 있습니다. 오늘 발표된 여론조사를 좀 더 자세히 살펴보고 앞으로 정국에 미칠 영향도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정치부 조정린기자 나와 있습니다. 어서 오십시오. 일단 여권 지지층의 이탈이 눈에 상당하다는 거지요?

[기자]
그렇습니다. 일단 배경에 앞서 세대별, 지역별 지지율을 살펴봐야 할 것 같은데요. 정부의 핵심 지지층인 진보층과 40대, 그리고 호남과 충청권에서 이탈이 두드러졌습니다. 특히 진보층의 낙폭이 7.8% 포인트로 중도층보다 컸는데요. 추미애-윤석열 갈등의 장기화로 중도층 이탈이 심화된 상황에서, 일부 진보층까지 지지를 철회한 것으로 전문가들은 분석했습니다.

[앵커]
가장 튼튼한 지지기반이라고 할 수 잇는 호남지역에서도 떨어졌다고 했는데 얼마나 떨어졌습니까? 호남에선 지난주보다 13.9%포인트나 떨어졌습니다. 호남지역은 진보정권의 심장으로도 불리죠. 그런 호남에서조차 민심 이반이 두드러진다는 건 이번 사태로 인한 실망감이 반영되고 있다고 봐야 할 듯 합니다. 또 일부 전문가들은 여권내 유력 주자로 호남 출신인 이낙연 대표의 최근 지지율 하락과의 연관성도 주목하고 있습니다. 충청권에서의 낙폭 역시 14.9%포인트로 지역별로는 가장 컸는데요, 이번 사태가 진행되면서 충권대망론이 다시 거론되는 것과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윤 총장의 출생지는 서울이지만, 부친은 충남 논산 출신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앵커> 여당은 이걸 어떻게 받아들이는 분위기입니까?

[기자]
네 민주당 지도부는 대체로 말을 아끼고 있습니다. 다만 친문계인 정청래 의원은 "윤 총장에 대한 미온적 대처에 대한 지지층 실망감이 표출된 것"이란 해석을 내놨는데요. 검찰개혁을 더 밀어붙여야 한다는 겁니다. 하지만 내부적으론 "국정운영 리더십에 황색불이 들어왔으며, 더 길어지면 빨간 불로 변할 것"이라며 우려하는 목소리가 적지 않습니다. 반면 국민의힘 김종인 비대위원장은 "국민이 윤 총장에 대한 핍박을 납득 못한 것이라고 진단했습니다.

[앵커]
같은 상황을 두고 여야가 완전히 다르게 해석하는 대목인데, 그렇다면 다음주로 미뤄진 징계위 결정에도 영향이 있을 수 있을까요?

[기자]
네. 가능성은 있어 보입니다. 청와대에서도 오늘 대통령이 절차적 정당성을 강조한 뒤 이전과는 다른 분위기가 감지됐는데요. 실제 윤 총장에 대한 징계 수위가 면직이나 해임보다 낮을 가능성을 예측하는 목소리가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가장 낮은 수위의 징계인 견책이 나올 경우 대통령이 직접 징계하는 부담을 덜 수 있게 됩니다. 이와 맞물려 여권에선 징계위의 결정 자체가 시간이 걸릴 수 있다는 예상도 나옵니다.

[앵커]
어쨋던 오늘 여론조사를 지켜 본 여권 입장에서는 이른바 출구전략을 더 늦츨 수 없다는 판단을 할 수도 있을 것 같은데, 추 장관 거취 문제가 다시 나올가능성은 어떻게 보고 있습니까?

[기자]
청와대와 여권은 현재로선 정치적으로 사태 수습이 힘든 만큼, 법무부 검사징계위원회 결과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입니다. 하지만 여권에서 나오는 '속도조절론'은 주목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징계위 결과가 나오더라도 문 대통령이 바로 결정하지 않고 여론의 추이를 볼 수 있다는 건데요. 이는 여당에서 진행중인 입법 절차와도 연계돼 있습니다. 여당이 공언한대로 오는 9일 공수처법이 처리되면 여권으로선 검찰개혁의 큰 고비 하나를 넘게 됩니다. 여권에선 징계위 절차에 따라 윤 총장을 해임시키지 못하는 상황이 오더라도 공수처법 처리를 명분으로 다음 단계로 넘어가자는 논리를 펼 수 있습니다. 그렇게 될 경우 연말 연초 개각을 통해 추 장관을 교체하는 선택을 할 가능성도 있습니다.

[앵커]
그러니까 우리가 지금 상상하는 것과 전혀 다른 상황이 전개 될 가능성이 있다는 건데 추장관이 이런 수습방안에 동의할 지는 모르겠군요 지켜보지요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