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사회

[따져보니] "전국 확대는 설 이후"…준비 상황 괜찮나

등록 2022.01.25 21:23 / 수정 2022.01.25 22:47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앞서 보셨듯 내일부터 4개 지역의 방역체계가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전환됩니다.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바뀌는 게 뭘 의미하는 건지, 또 준비는 돼 있는지 따져보겠습니다. 최원희 기자, '오미크론 대응단계'가 되면 뭐가 달라집니까?

[기자]
한 마디로 선택과 집중입니다. 오미크론의 전파력은 델타의 2배 이상이죠. 확진자 폭증이 불가피하다는 걸 전제로, 의료체계 붕괴가 우려되니 고위험군에 집중하겠다는 겁니다. 격리기간을 단축한 것도 직장 이탈자 속출 등 사회적 공백을 줄이기 위한 의도가 담겨 있습니다. 

[앵커] 
오미크론 전파력이 강해서 이렇게 할 수밖에 없다는 건데, 왜 4개 지역에서 먼저 하는 겁니까?

[기자]
광주·전남은 오미크론 점유율이 80% 수준이고 평택·안성은 주한미군의 오미크론 집단감염 영향으로 우세종화가 빨랐던 곳인데요. 시범운영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점 등을 보완하겠다는 의도도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미 전국적으로도 검출률이 50%를 넘었는데 설 연휴 이후에 전국으로 확대를 하면 너무 늦지 않을까요?

[기자]
정부는 "일반 확진자들은 발견이 느려지는 한계가 있고 PCR 검사 여력이 있는 편"이라 전환 시점을 고민하고 있다고 했습니다. 하지만 설 연휴 확진자가 폭증할 가능성 때문에 전환이 늦다는 지적도 나오죠. 정부도 다음달 하루 확진자가 3만 명 이상에 달할 수 있다고 보고 있습니다.

김우주 / 고려대 구로병원 감염내과 교수
"늦은 거죠. 우세종이 지금 전국이 다 됐는데 지금 아직도 시범 지역 시작도 안 했고. 설 연휴 2~3만 명 넘고 그 다음 10만 명까지도 갈 수 있는데 이거 다 예상하고 있는 거 아니에요"

[앵커] 
어쨌든 조만간 전국적으로 확대될텐데 준비는 잘 돼 있습니까?

[기자]
고위험군이 아닌 경증 환자들을 어떻게 관리할 것이냐도 중요하죠. 고위험군이 아니면 호흡기전담 클리닉 등 동네 병원에서도 진료를 받을 수 있게 했는데, 동네병원에선 코로나 환자와 일반 환자의 동선 분리가 어려울 수 있고, 코로나 환자 치료를 위한 세부 지침도 전달된 게 없다고 합니다.

신상엽 / 한국의학연구소 학술위원장
"고위험군은 과거에 하던 대로 정밀하게 잘 챙겨줄 테니까 고위험군이 아닌 분들은 동네 병·의원에서 담당하도록 넘기는 거예요"

재택치료자를 위한 먹는 치료제도 2만 1000명 분이나 들여왔지만 처방 기준이 까다로워 고작 100명 남짓 처방을 받았을 뿐입니다.

[앵커]
준비가 아직 덜 돼서 전국 확대가 늦어지는 걸수도 있을텐데, 오미크론 대응단계로 넘어가면 가장 우려되는 건 뭡니까?

[기자]
고위험 환자에 대한 진단과 치료는 유지되겠지만 저위험군의 치료는 지금보다 느슨해지는 문제가 생기죠. 자가진단키트 정확도가 떨어져 확진자를 놓칠 수 있고, 격리기간도 짧아 확산 위험은 더 높아질 겁니다. 오미크론이 먼저 확산됐던 국가들을 보면 남아공에선 일일 확진자가 2만 명에서 3000여 명으로, 영국에선 21만 명까지 폭증했다가 9만 명대로 줄었습니다. 결국 우리도 확진 규모는 다를 수 있지만 비슷한 과정을 겪을 것으로 보입니다.

[앵커]
이미 해외 사례를 통해 오미크론 전파가 빠르다는 건 확인된 사실이었는데, 방역당국의 대비가 부족했던 건 아닌지 아쉬운 지점도 있네요.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