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이번 파업 사태는 양상이 좀 특이합니다. 노조원들이 직접 교섭의 대상이 아닌 원청업체의 작업장을 점거하고 있다는 사실이 무엇보다 그렇습니다. 그래서 이해당사자가 많고 그만큼 해결이 어렵습니다. 그 꼬인 실타래를 하나 하나 풀어 보겠습니다.
최원희 기자, 이 파업의 출발점으로 먼저 돌아가 보지요?
[기자]
파업의 주체는 대우조선해양 하청노조입니다. 대우조선 협력사 22곳, 400여 명으로 구성된 노조인데 이들 중 약 120명이 지난달 2일부터 파업에 들어갔습니다. 조선업 불황이 시작된 2015년부터 임금을 깎으며 위기 극복에 동참해 왔는데 이제는 임금이 정상화돼야 한다는 게 하청노조 측 주장입니다.
[앵커]
그런데 왜 원청업체인 대우조선해양 작업장을 점거하고 있습니까?
[기자]
하정노조 측은 지난해부터 하청업체를 상대로 협상을 벌여 왔지만 난항을 겪자, 원청인 대우조선해양과 그 대주주인 산업은행의 책임도 묻고 있는 상황입니다.
[앵커]
노조가 요구하는 게 정확히 뭡니까?
[기자]
핵심은 임금 인상과 성과급 지급입니다. 하청노조 측은 지난해 임금 실수령액이 조선업 구조조정 이전인 2014년보다 32% 낮아졌다고 주장합니다. 그래서 30% 올려야 원상복구가 된다고 해 왔는데, 이 요구 폭을 10%대로 낮추면서 협상의 여지는 더 생긴 상황입니다. 이 외에도 노조 전임자 임금 지급과 사무실 제공 등 노조 활동을 인정해달란 요구도 하고 있습니다.
[앵커]
사측은 이런 요구에 대해 뭐라고 합니까?
[기자]
먼저, 하청업체들은 주 52시간제 시행으로 근로 시간이 줄면서 임금도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면서 노조 측이 요구하는 인상 폭은 터무니없다고 주장합니다. 하청업체들은 원청이 지급하는 공사대금으로 임금을 주는데요. 그렇다면 원청인 대우조선해양이 대금을 올려주면 되지 않냐 이렇게 생각하실텐데, 대우조선 측은 협력업체 노사가 풀어야 할 문제라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고, 공사대금을 올려줄 여력도 없다고 주장하고 있습니다. 대우조선은 지난 1분기에도 4700억 원 적자를 냈고 채권단 관리 체제로 유지되고 있어 자율적인 자금 관리에 제약이 있습니다.
이병훈 / 중앙대 사회학과 교수
"경기가 살아난 상태에서 (임금을) 유지한다 하니까 노동계는 '이게 말이 되느냐'라고 하는 건 충분히 이유있는 주장이고, 대우조선 경영진 그리고 산업은행, 정부가 타협을 할 수 있는 그런 선물을…."
[앵커]
대우조선 해양도 국민 세금이 어마어마하게 투입된 곳이어서 마음대로 할 수 없다는 얘기군요. 결국 정부가 나설 수 밖에 없는 상황 같은데 지금까지 발생한 피해도 크지요?
[기자]
대우조해양은 파업 시작 이후 현재까지 약 7000억 원, 매일 320억 원의 손실을 보는 걸로 추정됩니다. 현재 가장 큰 도크가 불법 점거당하면서 나머지 도크 4개의 생산에도 차질을 줄 수 있는 상황인데요. 한국 조선업의 신뢰 이유는 100%에 가까운 납기일 준수였는데, 이번 사태로 납기를 맞추기 어려워지면서 배상금 부담에 더해 한국 조선업 신뢰에도 부정적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구조조정 여파로 7년새 조선업 인력 절반이 줄어들 정도로 인력 부족이 심각한 상황에서 정부의 정책적 노력이 요구되는 상황입니다.
이은창 / 산업연구원 부연구위원
"납품하고 있는 협력사들, 직영 근로자들라든가 이런 업체들 리스크가 커질 가능성도 있어서 조선업계 생태계 차원의 문제이기도 하고, 현대나 삼성 다른 데로 퍼질 수도 있기 때문에…"
[앵커]
국가 경제 전체에도 영향을 줄 수 있기 때문에 빨리 해결을 하긴 해야 겠군요. 최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