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지 확보 없이 신재생 에너지?…탄소중립과 멀어진 '전력수급계획'

이상배 기자 | 2020.12.28 21:44

[앵커]
정부가 앞으로 15년 간의 전력 수급 계획을 확정했습니다. 석탄 원자력을 줄이고, 신재생에너지와 LNG 활용을 늘려 에너지 전환을 하겠다는 계획인데.

현실성 있는 계획인지, 이상배 기자가 따져봤습니다. 

 

[리포트]
검은색 금속판이 빼곡하게 채워져 있습니다. 태양광 발전을 위한 패널입니다.

정부가 2034년까지 이렇게 태양광과 같은 신재생 발전 비율을 40.3%까지 늘리겠다고 밝혔습니다.

원전, 석탄 발전을 줄이고, LNG 등을 활용해 에너지 전환을 가속화 하겠다는 겁니다.

하지만 신재생 발전을 위한 부지가 걱정입니다.

태양광으로 2000가구에 전기를 공급하려면 1만 5천 제곱미터의 땅이 필요합니다.

정부의 목표치까지 태양광 발전 용량을 확보하려면 여의도 면적의 160배가 넘는 부지가 필요하단 얘기입니다.

설치할 부지가 부족하다는 우려에 정부는, 건물 옥상, 철로 주변, 폐도로 등의 용지를 활용하면 된다고 해명했습니다.

날씨에 따라 발전량의 차이가 큰 신재생 에너지의 수급 불안정도 문제입니다.

실제 정부가 밝힌 신재생에너지 실효용량은 10.8GW로 설비용량(77.8GW)의 13%에 그칩니다.

LNG 역시 탄소배출량이 0인 원자력과 달리 1GW당 온실가스 254만t을 배출해 정부가 추진하는 탄소중립과 어긋난다는 지적입니다.

이덕환 / 서강대 화학과 교수
"효율적인 측면에서만 봐도 설득력이 없는 거예요. 전기요금이 2034년까지 10%가 아니고 매년 10%씩 올라야…."

이번 전력수급계획에는 탄소중립 등을 포함한 4차 산업혁명에 대한 전력 사용 예측도 반영되지 않았습니다.

TV조선 이상배입니다.

뉴스제보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