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져보니] 강달러에 1450원마저 뚫린 환율…방어 가능한가

송무빈 기자 | 2024.12.22 19:24

[앵커]
보신 것처럼 트럼프 행정부 출범에 따른 정책 불확실성에 시름이 깊어진 기업들을 더 힘들게 하는 것이 바로 고공행진 중인 원·달러 환율입니다. 과연 어디까지 오를지, 우리 당국은 어떤 대비를 하고 있는지 경제부 송무빈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송 기자, 요즘 어딜 가나 환율 이야기인데요. 어느 정도로 높은 건지 짚어주시죠.

[기자]
원·달러환율은 지난주 후반, 기어이 1450원대로 마감했습니다. 지난 19일 1451.9원을 찍더니 이튿날인 금요일에도 1451원을 넘어섰는데요. 환율이 1450원을 넘긴 건, 15년 전이죠, 글로벌 금융위기가 한창이던 2009년 3월 이후 처음입니다.

[앵커]
환율이 이렇게 뛴 원인, 대체 뭐라고 봐야 할까요?

[기자]
이유는 복합적이지만, 근본적으로는 외화가 빠져나간 데 따른 달러의 품귀현상과, 반대로 공급이 넘치면서 가치가 떨어진 원화의 약세 때문입니다. 최근 외화 유출은 크게 두 가지 모습을 띄는데요. 한국 경제의 경쟁력 약화에 따른 투자자본 유출, 그리고 국내 주식시장에 실망한 투자자가 미국 증시나 비트코인 등 대체 투자로 빠져나가는 상황입니다. 또 트럼프 2기 출범을 앞둔 미국이 기준금리 인하 속도를 늦추겠다고 해 강달러가 예고된 상황에서, 비상계엄 사태가 촉발한 정국 불안이 악재에 악재를 얹은 격이 됐습니다. 실제로 비상계엄 이후 지난 4일부터 외국인이 국내 주식 시장에서 순매도한 금액은 4조 원에 달하고, 같은 기간 환율도 50원 가까이 급등했습니다. 달러당 1500원까진 시간 문제라는 경고가 나오는 이윱니다.

[앵커]
1500원은 체감이 또 다른데, 정부 당국이 원화 가치를 끌어올리기 위한 조치를 취해야 하지 않을까요?

[기자]
그런 역할을 하는 것 중 하나가 바로 외환보유고인데요. 정부는 외환보유고의 달러를 팔아서 환율 상승을 억제할 수 있습니다. 현재 우리는 약 4150억 달러의 외환을 보유하고 있는데, 우리 정부는 충분하단 입장이지만, 대부분이 현금화가 어려운 자산으로 묶여 있어 환율의 방파제로 즉시 쓸 수 있는 자금이 제한적입니다. 여기에다 외화의 급등락을 막으려고 모아둔 '외환평형기금'을 최근 윤석열 정부가 세수 결손을 메우는데 쓰기로 결정하면서, 정부의 환율 진정 의지와 능력에 불안감이 더해진 상황입니다. 기획재정부는 과거 외환위기와 달리 지금은 우리가 달러 채무국이 아닌 채권국이기 때문에 우려가 크지 않다고 강조하지만, 전문가들의 시각은 다릅니다. 들어보시죠.

김정식 / 연세대 경제학부 명예교수
"외환 보유고가 4000억 달러 밑으로 떨어지면 불안감이 높아지면서 환투기가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앵커]
다른 조치는 없습니까?

[기자]
정부는 기업들의 외환 대출규제를 완화해 달러를 시중에 풀고, 시장 거래를 통하지 않고 달러를 조달할 수 있도록 외환 스와프를 늘릴 방침입니다. 최근 외환 스와프 대상을 국민연금에까지 적용했는데 그 금액을 최근 500억 달러에서 650억 달러로 늘리기도 했습니다. 그렇게 하면 국민연금이 해외투자용 달러를 시장이 아닌 한국은행에서 빌리니까 원화가치 하락 압력을 덜 순 있는데, 자칫 국민의 노후대비 자산인 국민연금이 환율 변동으로 인한 손실 위험에 처할 수 있습니다.

[앵커]
땜질식 긴급처방에는 한계가 있는 만큼 장기적 시각에서 근본적으로 체질을 개선하기 위한 준비도 필요해보입니다. 송 기자, 잘 들었습니다.

뉴스제보
이메일(tvchosun@chosun.com)
카카오톡(TV조선제보)
전화(1661-0190)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