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철우 경북도지사가 "내일부터는 뒷불 감시 체제로 전환한다"고 말했다.
이 지사는 "오늘 중으로 잔불 정리가 끝날 것 같고 밤에는 마무리가 될 것 같다"고 산불 상황을 전했다.
이 지사는 이재민들이 "농사철인데 대피시설인 체육관에서 먼 거리에 있는 생활 터전까지 농사를 지으러 갔다가 다시 돌아오는 불편을 겪어야 한다"며 무상으로 지원받은 모듈러주택 100동을 우선 설치해 제공하기로 했다.
이재민들이 집을 지을 때까지 1년 정도 생활할 수 있게 할 계획이다.
이 지사는 "이재민들이 집을 지어 나가면 모듈러주택을 구입해 전국에서 휴양림 등 숙박시설로 활용하다가 재난이 발생하면 다시 이재민들에게 제공하는 방안을 정부와 협의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거주지 인근 긴급주거시설과 농업, 수산업 등 피해 산업을 지원하는 '경북 초대형 산불 피해복구 및 지원 특별법' 제정을 정부, 정치권과 협의해나갈 계획이다.
또 피해 시설물 최대 지원을 위한 자연 재난 수준의 복구 지원액 적용도 정부에 요청했다.
이번 산불은 사회 재난으로 분류돼 주거비로(주택 전파 경우) 2천만∼3,600만원 지원받을 수 있다.
하지만 자연 재난은 피해주택 연면적에 따라 주택복구비가 6,600만∼1억2천만원이다.
이 지사는 이번 산불 피해는 지난 동해안 산불 피해 9천억원의 적어도 몇 배는 더 많을 것으로 추정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