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전체

우크라 평화회의 폐막…공동성명에 10개국 이상 불참

등록 2024.06.17 09:34

수정 2024.06.17 09:41

우크라 평화회의 폐막…공동성명에 10개국 이상 불참

현지시간 16일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이 우크라이나 평화회의에 참석해 서류를 보고 있는 모습 /AFP=연합뉴스

우크라이나 종전 방안을 협의하기 위한 우크라이나 평화회의가 마무리됐다.

현지시간 16일 스위스 연방정부는 니드발젠주 뷔르겐슈톡에서 이틀간 열린 평화회의가 100여 개국 대표 중 83개 국가·기관이 서명한 공동성명 채택으로 폐회했다고 밝혔다.

공동성명에는 참가국이 국제법과 유엔 헌장을 기반으로 우크라이나의 지속 가능한 평화 체제를 위해 건설적으로 논의했다는 사실이 담겼다.

83개 국가·기관은 '모든 국가의 영토보전과 정치적 독립을 위해 무력 사용을 자제한다'는 원칙도 재확인했다.

또 전쟁포로의 완전한 교환·석방과 난민이 된 우크라이나 아동·민간인 억류자의 송환을 촉구하는 내용 등이 담겼다.

우크라이나의 원전 시설에 대한 내용도 담겼다.

원전 시설이 우크라이나의 완전한 주권적 통제하에 국제원자력기구(IAEA)가 정해 놓은 원칙에 따라 안전하게 운영돼야 한다는 내용이다.

하지만 참가국 중 10여 개국이 성명에 서명하지 않아 우크라이나 전쟁의 해결을 위한 국제적 규모의 첫 회의라는 의미가 퇴색하는 등 한계가 분명했다.

비서명국은 브라질, 인도, 남아프리카공화국, 아랍에미리트(UAE) 등으로 브릭스 가입이 승인되었거나 태국 리비아 등 가입을 추진 중인 국가들은 서명하지 않았다.

이밖에 회의 주최국이자 중립국을 표방하는 스위스, 교황청 역시 서명하지 않았다.

전쟁 중인 러시아는 지난 4월 회의 불참 입장을 분명히 했다.

러시아의 우방으로 꼽히는 중국도 회의에 대표단을 보내지 않겠다고 앞서 입장을 밝혔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