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전체

"전공의 나몰라라 환자 치료나 하는 것은 천륜을 저버린 것"

등록 2024.06.17 19:29

수정 2024.06.17 19:33

'전공의 나몰라라 환자 치료나 하는 것은 천륜을 저버린 것'

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전공의 사태 해결 등을 요구하며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17일 오전 종로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열린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협의회 비상대책위원회 주최 휴진 관련 집회에서 방재승 투쟁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연합뉴스

'무기한 휴진'에 들어간 서울대 의과대학·서울대병원 교수들이 "의료 붕괴가 시작됐는데 정부가 귀를 막고 도대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며 "마지막 카드는 전면 휴진밖에 없다"고 말했다.

서울의대·서울대병원 교수 비상대책위원회는 '무기한 전면 휴진' 첫날인 17일 서울의대 융합관 양윤선홀에서 집회를 열고 이같이 밝혔다.

방재승 비대위 투쟁위원장은 "전공의와 의대생이 복귀하지 않으면 한국 의료는 붕괴된다는 것을 확실히 알고 있기 때문에 3개월간 정부와 국민에 수도 없이 말씀드렸지만, 정부가 국민의 귀를 닫게 만들고 의견을 묵살했다"고 주장했다.

이어 "의료 붕괴는 이미 시작됐고 우리는 할 수 있는 데까지 해볼 것이다. 정부가 끝까지 안 들어주면 휴진을 철회하고 항복 선언을 해야 하겠지만 이후 의료 붕괴의 책임은 정부에 있다"고 강조했다.

방 위원장은 전공의에 대한 행정처분 완전취소, 현장 의견 반영이 가능한 상설 의·정 협의체, 2025년도 의대 정원 재조정 등을 정부에 요구하고, "정부가 이를 위한 가시적 조치를 취한다면 휴진을 철회하고 대화에 나서겠다"고 말했다.

강성범 분당서울대병원 교수는 "진료에만 충실한 교수가 정의인가"라고 지적하며 "자식 같은 전공의와 학생들이 밖에 나간 지 4개월이나 되어 가는데, 그들이 어떻게 되든 상관없이 병원에 남아 환자 치료나 계속하는 것은 천륜을 저버린 것"이라고 밝혔다.

강희경 비대위원장은 "전공의들이 있었을 때의 수술 건수(수술장 기준)를 100%라고 봤을 때 이전까지의 수술 건수는 60% 정도였고, 이번주는 30%로 조절이 됐다"고 전했다.

비대위는 "진료 예약 변경은 담당 교수가 판단한 환자 상태와 비대위에 접수된 환자 요청을 고려해 이뤄진다"며 "약처방을 위한 외래 운영 등 환자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한 조치를 함께 시행 중"이라고 설명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