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뉴스9

[따져보니] '잠재적 폭탄' 리튬전지…진화 방법은?

등록 2024.06.25 21:14

수정 2024.06.25 21:17

[앵커]
앞서 보신 것처럼 이번 화재를 물로 잡으려는 시도가 옳았던 건지 논란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리튬전지 화재때는 어떻게 대응하는게 맞는지, 따져보게습니다. 김자민 기자, 직원들이 초기에 소화기로 진압을 시도했는데 왜 불길이 커졌습니까?

[기자]
무엇 때문에 불이 났는지, 어떤 게 불에 타고 있는지, 화재 연소 특성에 따라 쓰이는 소화기가 다릅니다. 직원들은 일반 가정에서 갖고 있는 ABC소화기로 진화 작업을 한 것으로 분석되는데요. 리튬으로 인한 금속화재에는 D급 소화기를 써야합니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금속화재가 소방법상 화재 유형으로 분류되어 있지 않습니다. 그렇다보니 안전 기준에 D급 소화기 비치 의무가 없고, 정식 수입품도 없습니다.

[앵커]
리튬전지는 물을 뿌리면 수소가스가 발생해 가연성이 더 커진다는데 소방당국이 왜 물을 뿌렸는지도 논란이잖아요?

[기자]
화재가 시작된 곳은 배터리 완제품을 보관하는 장소였습니다. 완제품은 방수가 돼 있기 때문에 폭발 위험이 작고 물을 뿌려 열이 다른 공간으로 퍼지지 않도록 막는 게 최선이었다는 게 전문가의 설명입니다.

나용운 / 국립소방연구원 연구사
"배터리 내부 안에 리튬이 들어있는데 물을 뿌린다 하더라도 그 리튬을 만날 수가 없죠, 방수가 되니깐요. 오픈된 공간이라 어떤 넓은 공간에서는 수소가 좀 나오더라도 빨리 진압하는 게 더 이득이 될 수도 있는 거고요."

[앵커]
D급 소화기도 없고, 물 뿌리는 것도 위험하면, 전지 화재는 어떻게 진압해야 하는 겁니까?

[기자]
냉각 소화 방법 밖엔 아직 답이 없습니다. 쉽게 말해서 수조에 전지를 담그듯이 엄청난 양의 물을 퍼부어 불을 꺼야합니다. 공장을 통째로 물에 담그는 건 불가능하기 때문에 사실상 연료가 다 탈 때까지 2차, 3차 확산을 막으며 기다리는 게 최선입니다.

[앵커]
해외의 경우는 어떻습니까? 전지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방법이 있습니까?

[기자]
얼마 전 캘리포니아의 리튬전지 공장에서 불이 났는데요. 내부 화재예방 시스템에 의해 45분 만에 초기 진압됐는데, 이틀 뒤 다시 불이 났고, 결국 닷새 만에 완진됐습니다. 당시 캘리포니아 소방청도 물을 뿌렸습니다. 전세계적으로 리튬 화재를 진압할 수 있는 전용 소화약제는 없는 현실입니다.

[앵커]
리튬 전지가 일상에도 많이 쓰이잖아요. 전기차에도 들어가고요. 불이 나면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기자]
전기차, 킥보드, 무선청소기, 휴대전화, 모두 충전해서 쓰는 리튬 2차 전지가 들어갑니다. 앞서 말씀드렸듯이 가정용 소화기는 직접적인 진압 효과는 없고, 물을 뿌리면 폭파 위험이 있습니다. 전문가들은 대피가 우선이라고 조언합니다.

이준 / 한국교통연구원 방제센터 연구위원
"D급 소화기가 필요해요. 화재 초기에 잡을 수 있는 D급소화기 설치를 그런 공장에서 의무화시켜야 되는데 지금은 그 규정이 없기 때문에 여태 공장을 돌렸었던 거고 유사한 사고가 일어나지 않도록 제도 개선할 필요가 있습니다."

[앵커]
제도 개선도 필요하지만 당장 해결책이 있는 게 아니니깐, 안전교육, 대피연습부터 철저히 해야할 듯 합니다. 김자민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