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7

[따져보니] 中 이커머스 침공에 속수무책…정부 대책은?

등록 2024.03.10 19:35

수정 2024.03.10 19:41

[앵커]
알리, 테무 같은 중국 이커머스 업체가 한국 시장을 흔들고 있습니다. 부작용 우려가 큰 데, 대책은 없는지 산업부 박상현 기자와 따져보겠습니다. 박 기자, 중국 업체 이용률이 우리나라에서도 높습니까?

[기자]
네, 이미 많은 분들이 광고로도 접해보셨을텐데요. 알리, 테무 등 중국 이커머스 업체들이 속속 한국 시장에 진출하고 있습니다. 이들은 단시간에 국내시장을 접수한 상황입니다. 지난달 알리, 테무, 쉬인 등 중국 3대 쇼핑앱의 국내 이용자는 1467만명에 달합니다. 사용자 기준으로 알리의 경우 쿠팡에 이어 2위에 올랐고, 테무 역시 4위를 차지하며 영향력을 넓혀가고 있습니다.

[앵커]
소비자 입장에서야 가격이 싸면 좋죠. 그런데, 품질이나 서비스도 국내 업체를 위협할 만한 수준입니까?

[기자]
서비스 부분은 한번 고민해봐야하는 상황입니다.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소비자 불만도 급증하고 있는데요. 가장 큰 논란이 바로 가품 문제고요. 배송지연이나 반품 거부 논란도 있습니다. 실제 소비자상담센터에 접수된 알리 관련 불만은 2022년 93건에서 지난해 465건으로 늘었습니다. 특히 올해 1월에만 150건이 접수되면서 올해는 2000여건에 달할 것으로 전망됩니다.

[앵커]
이렇게 불만족도가 높아지면 한국 시장에서 살아남기 힘들텐데요?

[기자]
중국 업체들은 올해를 '현지화 원년'으로 계획하고 공격적인 마케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알리의 경우 1% 미만의 판매수수료를 내세우고 있는데, 최근에는 공짜 수수료까지 선언했습니다. 국내 온라인쇼핑몰의 평균 판매수수료가 6~11% 정도인 것과는 비교가 안되는 수준인 셈입니다. 그러자 국내 1위 식품업체, CJ제일제당을 비롯한 대기업들도 속속 알리에 입점하고 있습니다.

[앵커]
가격 경쟁력으로 승부를 보겠다는 의지가 확실히 보이네요. 저도 이 앱들을 봤는데, 처음엔 옷이나 기계 같은 공산품만 있었거든요. 지금은 종류가 더 다양해졌더라고요? 더 확장해가는 겁니까?

[기자]
네, 최근 알리가 신선식품까지 판매하기 시작했고, 품목을 늘리기 위해 국내 농가들까지 접촉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신선식품을 보관할 물류센터 설립까지 추진 중입니다.

[앵커]
막강한 자금력 앞엔 사실, 국내 업체들은 속수무책일텐데, 그렇다고 규제할 명분도 없지 않습니까?

[기자]
그래서 중국 업체들을 규제의 틀로 넣어야 한다는 의견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국내 유통업체들은 알리 등 중국 이커머스등과 기울어진 운동장에서 경쟁한다고 불만을 토로합니다. 국내법으로 해외 이커머스 사업자를 제재할 명확한 규정이 없고요. 특히 중국 정부가 자국 기업의 개인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만큼 국내 개인정보가 중국으로 넘어갈 위험성도 크다고 지적합니다.

[앵커]
정부가 나서야 하지 않을까요?

[기자]
정부도 심각성을 인식했습니다. 해외 직구 관련 상황을 점검하고 TF까지 구성했습니다. 하지만 일각에선 대응 시기가 너무 늦었고, 정부가 취할 수 있는 실질적인 조치도 마땅치 않다는 지적도 나옵니다.

[앵커]
단순히 중국에 시장을 뺏긴다는 측면에서 볼 게 아니라, 해외 업체이기 때문에 피해가는 구멍은 없는지, 국내 업체가 역차별 받는 건 없는지, 이런 부분부터 정부가 꼼꼼히 살펴봐야하겠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