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사실, 공정위 비리는 어제 오늘 일이 아닙니다. 뇌물을 받은 뒤 납품권을 몰아주기도 하고, 담합 의혹을 눈감아 주기도 하고, 잊을만 하면 비리가 터집니다. 겉으로는 정의의 칼을 휘두르면서 뒤로는 챙길 건 다 챙기는 공정위, 계속해서 이현준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2012년부터 시작된 35개 행정기관의 세종시 이전. 공정거래위원회는 칸막이와 의자 등 사무용 기자재를 사는 데 4억 원 가량을 썼습니다.
이 기자재들은 모두 한 가구 유통업체가 납품했는데, 알고보니 물품구입 담당 직원 최모 씨가 가구업체로부터 뇌물를 받고 특혜를 준 것이었습니다.
공정위 관계자
"(기자재 구매) 양이 많지 않으니까 말단 직원한데 맡겨놓은 거예요. 집으로 선물을 배달해주는데 알 수가 있겠습니까"
공정한 잣대로 휘둘러야 할 칼을 휘두르고 싶을 때만 사용한다는 비판도 있습니다.
하지만 2차 공사 입찰때도 담합은 반복됐고 공정위는 그제서야 건설사들에게 과징금을 부과했습니다. 이미 두 번에 걸친 담합으로 3천억 원에 이르는 세금을 날린 뒤, 뒷북을 친겁니다.
김영훈 / 바른사회시민회의
"공정위는 뇌물 같은 부분에 있어서 유혹을 받을 확률이 높습니다. 내부 규정도 좀 더 강화되어야 하고 처벌도 다른 기관보다 강화되어야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경제민주화를 외치며 시장 질서를 바로 잡겠다는 공정거래위원회. 자신들부터 바로잡아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습니다.
TV조선 이현준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