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이런 현상이 생긴 게 어제 오늘 일은 아닙니다만 의사들의 비인기 학과 기피 현상이 더욱 심각해지고 있습니다. 한마디로 히포크라테스 선서고 뭐고, 돈벌이가 안 되는건 싫다는 것입니다. 지금 상황이 어느 정도냐면요, 지금대로라면 10년 뒤면 흉부 외과의 맥이 끊어지게됩니다.
이정민, 이정연 기자가 잇따라 보도합니다.
[리포트]
의대 졸업 후 공중보건의로 복무중인 김모씨. 복무 후엔 전공을 선택해야 하는데, 비뇨기과나 흉부외과 등은 아예 제쳐두고 있습니다.
김ㅇㅇ / 공중보건의
"나와서 진료를 하면서 실제 의료행위를 해서 살기가 어려운 부분들이 있다보니까."
비인기 진료과목을 기피하는 겁니다. 내년도 레지던트 모집에서 비뇨기과, 흉부외과, 외과 등은 미달이 속출했습니다.
비뇨기과의 경우 이른바 '빅5' 병원들 중에 한 곳만 겨우 정원을 채웠고, 다른 병원들은 대부분 지원 자체가 없었습니다.
대학병원 비뇨기과 레지던트
"수요들을 감당하기에 이미 너무 많은 병원들이 진출해 있고. 수가 자체도 너무 낮게 형성돼 있다 보니까."
반면 성형외과, 피부과, 안과, 마취통증의학과 등 이른바 '돈되는 과'는 평균 2대 1 이상의 경쟁률을 보였습니다.
기피과 미달현상은 진료 과별로 고르게 의사를 양성하는걸 불가능하게 만듭니다. 그 피해가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갈 수밖에 없습니다.
TV조선 이정민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