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그램

설정

  • 알림 수신 설정

  • 마케팅 수신 여부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

    동영상 시청 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약관

APP버전

3.0.1

스크랩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알림

수신된 알림이 없습니다.

사회전체

[현장] 지자체 엉터리 영어 구호 남발…국제적 망신살

  • 등록: 2016.03.27 20:05

  • 수정: 2016.03.27 20:08

Loadingbar

[앵커]
패스트 천안, 파인토피아 봉화. 이처럼 요즘 지자체의 행정 구호는 대부분 영어입니다. 이런 묻지마 영어 구호에, 정작 외국인들은 어떻게 느낄까요? 짐작은 했지만.. 낯이 뜨거워지는 건 왜 지자체가 아닌 우리 몫일까요.

석민혁 기자입니다.

[리포트]
어색한 수식어를 붙이고,

로사 베이커 / 네덜란드
“어색한데요. 패스트 천안?”

알 수 없는 신조어까지 등장합니다.

다나 메이어스 / 스위스
“급하게 만든 티가 나는데요, 급조한 티가 나요"

자치단체들이 영어로 만든 행정 구호입니다. 전국의 지자체 가운데 절반 정도가 외국어로 된 구호를 쓰지만, 콩글리시가 넘쳐납니다.

자치단체들의 엉터리 영어 구호에 대해 원어민들은 어떻게 생각하는지 직접 들어보겠습니다.

메간 페 / 미국
“(어색하다고 느끼세요?) 네 진짜 어색하네요. 무슨 말인지 이해를 못하겠어요. 저라면 유토피아와 소나무를 한 단어로 붙여쓰진 않을 거예요.”

콩글리시는 역효과까지 불러옵니다.

트레이시 W. / 미국
“영어에서 just는 긍정적으로 쓰이질 않아요. 평균이거나 부정적인 의미로 쓰이죠. 도대체 누가 만든 거에요?"

외국인 블로그에서는 조롱의 대상이 되기도 합니다. 

이건범 / 한글문화연대 대표
“세계화를 좀 잘못 이해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세계화가 됐다고 해서 우리가 우리 정체성을 버릴 필요는 없거든요.”

자치단체들은 궁색한 변명을 늘어놓습니다.

전대성 / 경북 봉화군청 기획담당
“10년 정도 경과를 했거든요. 일순간에 이걸 버리고 다시 또 만든다는 거는…”

자치단체들이 엉터리 영어 구호를 쏟아내면서, 국제화는커녕 국제적 망신만 당하고 있습니다.

TV조선 석민혁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V조선 뉴스는
여러분과 함께 나아갑니다.

소중한 제보와 함께 가치 있는 뉴스를 만들겠습니다.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