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계속되는 지진에 천년 고도 경주의 소중한 문화재들이 큰 충격을 받았습니다. 특히 천년을 꿋꿋하게 견뎌온 첨성대가 옆으로 기울어져 해체해서 제대로 복원해야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습니다.
박상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서기 600년대 초반 신라 선덕여왕 시절 건립된 첨성대. 지난 12일 5.8 강진에 이어 일주일 간 400여차례의 여진에 충격을 받았습니다.
중심축에서 북쪽으로 20.4cm 비스듬히 서 있었지만, 지진으로 2cm 더 기울어졌습니다.
강진에도 무너지지 않은 것은 신라시대 조상들의 지혜 덕분입니다.
첨성대 하부는 상부보다 직경이 크고 12단까지는 흙으로 채워져 있습니다. 무게 중심이 아래 있다보니 진동에 버티는 복원력이 생긴겁니다.
"현대건축에서 쓰이는 최첨단 과학적인 방법이 이안에 원리적으로 담겨있습니다. 그것이 이번 실제 지진 현상에서도 확인 되고 있습니다."
어제 지진에 추가로 기울어지는 피해는 없었지만, 지진으로 외부충격이 더해지면 자칫 첨성대가 무너질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옵니다.
첨성대 지반은 지하 16m까지 퇴적층, 그 아래는 화강암으로 구성돼있습니다, 북쪽 지반이 약해 급속한 침하가 이뤄질 수 있다는 겁니다.
때문에 첨성대를 해체해 복원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면서, 보수 방법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이진락 / 경북도의원(고고학 박사)
"상단부 만큼은 약간의 보수가 필요하죠. 그 소중한 문화재를 어떻게 해체합니까. 그 중요한 문화재를 함부로 손댈 필요는 없잖아요."
문화재청은 조만간 첨성대 보수 방안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TV조선 박상현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