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문재인 대통령은 4일 오전 8시 25분부터 57분까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32분 간 정상통화를 했다. 바이든 대통령 취임 14일 만이다.
청와대에 따르면, 문 대통령은 "미국이 바이든 대통령의 리더십 하에 국민 통합과 더 나은 재건을 향한 비전을 실현하기를 바란다"고 취임 축하 인사를 건넸고, 바이든 대통령은 "따뜻한 축하와 성원에 감사하다"고 답했다.
이어 문 대통령이 "취임 연설에서 전례 없는 도전을 이겨내고 희망으로 가득찬 미국 이야기 완성하겠다는 의지를 느낄 수 있었다"고 하자, 바이든 대통령은 "그 희망의 하나가 한국"이라고 화답했다.
강민석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에서 "양 정상은 한미가 역내 평화와 번영의 핵심 동맹임을 재확인하고, 가치를 공유하는 책임 동맹으로서 한반도와 인도-태평양 지역 협력을 넘어 민주주의·인권 및 다자주의 증진에 기여하는 포괄적 동맹으로 발전시켜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조속히 포괄적인 대북전략을 함께 만들어나갈 필요가 있다는 데에도 인식을 같이 했다"고 청와대는 전했다.
특히 양 정상은 한일관계 개선과 한미일 협력이 역내 평화와 번영에 중요하다는데 공감했다고 청와대가 밝혔다.
양 정상은 또 최근 군부 쿠데타가 발생한 미얀마 상황에 대해 우려를 공유하고, 민주적이고 평화적인 문제 해결을 위해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
또 코로나 상황이 진정되는대로 한미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
앞서 문 대통령은 통화를 마친 직후 SNS를 통해 "나와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공동의 가치에 기반한 한미동맹을 한 차원 업그레이드하기로 약속했다"며 "코로나19, 기후변화, 경제 양극화 등 중첩된 전 세계적 위기 속에 '미국의 귀환'을 환영했다"고 했다.
한미 정상 간 통화는 미일 정상 통화(지난달 28일)보다 일주일 가량 늦게 성사됐지만, 미국의 전통적 우방국인 이스라엘·호주보다는 빨랐다.
전례상 미국 대통령은 취임 후 인접 국가인 캐나다·멕시코·유럽 주요동맹국과 먼저 통화를 한 뒤 이스라엘·호주·인도 태평양의 동맹국 순으로 통화한다.
과거 트럼프 전 대통령은 일본 정상과 통화한 지 이틀 만에 황교안 당시 대통령권한대행과 취임 첫 통화를 가졌고, 오바마 전 대통령도 일본 정상 통화 후 5일만에 이명박 대통령과 통화했다. / 김보건 기자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