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미심쩍은 정황은 또 있습니다. 동해경제 자유구역청은 2018년 망상지구 사업 시행자로 전세사기꾼의 회사를 선정했습니다. 하지만, 사업 부지의 50%를 미리 확보해야하는 사업자 선정 조건을 맞추지 못하자 개발 면적을 쪼개는 방식으로 꼼수 허가를 내줬습니다. 그 배경은 또 무엇이었을까요?
이어서 황병준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리포트]
2018년 변경된 동해 망상지구 개발 계획안입니다.
면적은 193만 평에서 118만 평으로 절반 가까이 줄었고, 사업 지구는 3개로 쪼개졌는데, 전세사기업자 남 모씨가 2017년 세운 동해이씨티가 사업자로 최종 선정됐습니다.
동해안권경제자유구역청은 왜 개발지구를 세 개로 쪼갰을까? 동해시와 지역 사회단체들은 남씨 회사를 사업자로 정하기 위한 꼼수로 보고 있습니다.
남씨 회사는 망상지구 사업제안서에 재원 조달 방법으로 '임대보증금과 임대료 수입'을 제시했는데, 전세사기로 빼돌린 피해자들의 돈이 동해 개발 사업에 흘러들어갔을 가능성이 큽니다.
지역 시민단체는 최문순 전 강원지사와 남씨 사이에 유착 관계가 있다고 주장합니다.
전억찬 / 동해시경제인연합회장
"몰아주기 위한 하나의 방편이 아니었나. 사업을 하게 된 동기가 뭐냐 하고 물으니까 최문순 지사가 오라 해서 왔다…."
하지만 최 전 지사는 "절차에 따라 진행된 사업"이라며 "전세사기와는 무관한 사업"이라고 해명했습니다.
TV조선 황병준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