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그램

설정

  • 알림 수신 설정

  • 마케팅 수신 여부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

    동영상 시청 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약관

APP버전

3.0.1

스크랩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알림

수신된 알림이 없습니다.

사회전체

아파트 한 동에 걸린 태극기 단 하나…광복절 태극기 '무관심'

  • 등록: 2023.08.15 21:23

  • 수정: 2023.08.15 21:47

Loadingbar

[앵커]
오늘 가정에서 태극기 게양 하셨을까요. 광복절에도 주택가에서 태극기 찾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아파트 한 동에 태극기 하나가 걸려 있기도 했습니다. 이렇게 태극기를 접할 기회가 줄어서 인지, 태극기 그리기에 애를 먹는 시민들도 적지 않았습니다.

조유진 기자의 보도입니다.

[리포트]
광복절 서울 거리. 시민들에게 태극기를 그려보게 했습니다.

"빨간색이 밑이야? 파란색이 밑이야? 아 진짜 모르겠다."

음양 위치는 물론, 건곤감리 4괘도 헷갈립니다.

" 3,4,5,6 맞잖아. 맞아? 두개, 한개, 두개 맞지? 헷갈려. 엄청 헷갈려."

일상에서 태극기를 접할 기회가 줄다 보니 익숙하지 않은 겁니다.

전지호 / 서울 양천구
"중학교 때까지는 (태극기 게양) 다 했던 것 같은데 요즘에는 주변에서도 안 하고 저희 집도 안 하는…"

광복절인데도 주택가엔 태극기를 게양한 집이 많지 않습니다.

동 전체에 태극기 걸린 집이 한두 곳. 게양하는 사람이 적으니 파는 곳 찾기도 쉽지 않습니다.

문구점이 밀집해 있는 동대문 문구완구거리의 상점 20곳 가운데 태극기를 파는 곳은 단 3곳에 불과했습니다.

문구점 사장
"태극기 찾는 사람이 별로 없어요. 열흘에 한 번도 어쩌다 어쩌다 한 분 찾아. 우리도 팔았었어. 지금은 이제 못 팔지"

국기에 대한 국민 관심 자체가 크게 줄면서 드러나는 태극기 게양 현주소입니다.

서경덕 / 성신여대 교수
"국기는 그 나라의 얼굴이라고 해도 과언이 아니지 않습니까? 캠페인이라든지 이런 교육적인 측면에 대한 콘텐츠를…"

국경일이면 집집마다 태극기를 게양하던 모습은 옛 풍경이 돼 가고 있습니다.

TV조선 조유진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V조선 뉴스는
여러분과 함께 나아갑니다.

소중한 제보와 함께 가치 있는 뉴스를 만들겠습니다.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