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정부가 4분기 전기요금 결정을 앞두고 고심에 빠졌습니다. 지난 분기엔 동결했지만 한국전력의 적자가 심각하고 국제유가도 급등하고 있어 요금 인상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 하지만 다시 오르고 있는 물가가 부담입니다.
최윤정 기자입니다.
[리포트]
지난 6월 말 기준 한국전력의 총 부채는 201조 4천억 원으로, 사상 첫 200조원을 넘겼습니다.
이자부담만 한 달에 약 2000억원에 달해 그 자체로 적자폭이 큰데, 설상가상 악재가 겹쳤습니다.
국제유가가 배럴당 90달러 선을 돌파한 겁니다.
정부는 다음주 4분기 전기요금을 발표를 앞두고 인상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한덕수 / 국무총리 (지난 7일 대정부질문)
"가능하다면 전력요금 조정도 신중하게 검토해야 한다고 생각하고요"
인상이 어려울 거란 분석도 있습니다.
4분기는 겨울철 난방 전력 수요가 늘어나는 데다, 지난달 물가도 3%대로 다시 오른 상황이라, 국민 부담이 가중되기 때문입니다.
여기에 내년 4월 총선도 의식하지 않을 수 없습니다.
하지만 한전채 발행으로 자금을 충당하고 있는 한국전력이, 올해 추가 손실로 내년 한전채 발행 한도마저 줄어들면 극심한 유동성 위기를 겪을 수 있습니다.
유승훈 / 서울과기대 에너지정책과 교수
"전기요금 인상은 불가피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국민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정부가 재정을 투입해서 전기요금 인상 요인을 억제하는 방안도 고려할 수 있습니다"
한국전력 정상화와 물가 안정,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정부의 셈법이 복잡해지고 있습니다.
TV조선 최윤정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