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7

여야 "병립형+권역별 비례" 합의 가능성 부상…지역주의 극복 명분도

등록 2023.12.09 19:33

수정 2023.12.09 19:38

[앵커]
선거 제도를 논의하고 있는 여야가 지역구와 비례대표 의원을 따로 뽑는 과거 방식으로 돌아가는 대신, 권역을 몇 개로 나눠 득표율에 따라 비례의석을 주는 '권역별 병립형 비례제'로 뜻을 모으는 분위기입니다. 거대 양당에 유리하면서도 지역주의 극복이란 명분을 내세우겠다는 건데, 소수정당과 신당 세력은 반발하고 있습니다.

최지원 기자 리포트 전해드리고 뉴스야 이어가겠습니다. 

 

[리포트]
민주당은 "멋있게 지면 무슨 소용이냐"는 이재명 대표 발언 이후, 비례의석을 정당 득표율에 따라 단순 배분하는 '병립형 비례제'로 돌아가는데 무게를 두는 분위기입니다.

다만 여기에 수도권과 중부권, 남부권으로 권역을 나눠 비례 의석을 할당하는 권역별 비례제를 실시해 '지역주의 타파'라는 새 명분을 채우겠단 구상입니다.

전재수 / 더불어민주당 의원 (어제)
"지역주의를 완화할 수 있는 측면에서 권역별 비례대표제가 도입이 되면 단순 병립형으로 돌아갔다고 해서 이것이 단순한 퇴행은 아니다…."

국민의힘도 병립형 회귀를 전제로라면 권역별 비례제 도입도 가능하다는 입장입니다.

최형두 / 국민의힘 의원 (지난 5일)
"권역별 병립형 비례대표제가 있는데 이것도 상당히 현실적인 방안이라고 생각합니다. 동서지역을 통합시키는 큰 권역별, 큰 정치인을 탄생시키는…."

하지만 정의당 등 소수정당은 권역별 비례제가 도입되면, 비례의원 입성이 기존보다 더 어려워진다며, "양대 정당이 비례 47석을 다 가져가려는 꼼수"라고 비판했습니다.

김준우 / 정의당 비대위원장 (그제)
"양당 기득권 정치를 더 강화하고 국회 내 다양성을 질식시키고자 하는 법입니다."

신당 창당을 시사한 송영길 전 대표도 "주변 사람을 비례 공천해 충성부대를 만드려는 것"이라고 주장했습니다.

TV조선 최지원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