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뉴스9

정부, 푸틴 방북에 "평화·안정 저해 안 돼"…한중, 9년만에 외교안보 대화

등록 2024.06.18 21:06

수정 2024.06.18 21:50

[앵커]
푸틴 대통령이 북한에 도착하는 날, 서울에선 한국과 중국이 외교안보대화를 열어 북러 밀착에 대한 대응방안을 논의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그레이트 게임'이란 용어를 사용해, 외교 전략 변화를 예고했는데, 어떤 뜻인지, 조성호 기자가 알아봤습니다. 
 

 

[리포트]
김홍균 외교부 1차관이 쑨웨이둥 중국 외교부 부부장과 악수합니다.

한중 양국 외교부와 국방부가 2+2 형태로 참여하는 외교안보대화가 9년만에 열렸습니다.

2013년과 2015년 국장급에서 두 차례 진행됐다가 사드 배치 갈등으로 중단된 뒤 차관급으로 격상해 재개된 겁니다.

푸틴 대통령의 평양 도착 당일에 한중 고위급 회동이 이뤄진 만큼, 최근 북러 밀착에 대한 맞불 성격이란 관측이 나옵니다.

정부는 푸틴의 방북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해선 안 된다는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

임수석 / 외교부 대변인
"(북러 협력이) 유엔 안보리 결의를 위반하거나 역내 평화와 안정을 저해하는 방향으로 이뤄져서는 안 된다는…."

윤석열 대통령은 "국제 무역질서와 규범이 흔들리고 경제 공급망이 분절되는 상황"이라며 이른바 '그레이트 게임'에 대한 '전략'을 강조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
"글로벌 질서를 좌우하는 '그레이트 게임'을 정확하게 읽어야 하고, 우리가 표방해야 할 분명한 '대전략'을 가지고 있어야 합니다."

'그레이트 게임'은 100여년 전 러시아와 영국의 중앙아시아 패권 경쟁에서 비롯된 용어로, "미국과 중국 간 패권 경쟁과 함께 북한과 러시아, 중동 등을 포함한 입체적 국제질서까지 포함해야 한다는 의미로 해석됩니다.

대통령실은 푸틴 대통령의 이번 방북과 관련해 시나리오 별로 대응 방안을 마련하고 있다고 설명했습니다.

TV조선 조성호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