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경제성 면에서만 보면 적어도 2년 이상은 더 가동할 수 있다는 게 당시 한수원의 판단이었습니다. 그런데 왜 이렇게 무리하게 가동을 중단했을까요? 감사원은 매우 의미있는 대목을 확인했습니다. 대통령이 월성 1호기의 영구 중단은 언제 결정할 계획인지 질문했다는 취지의 보고를 받은 당시 백운규 산업부 장관이 그 직후 즉시 가동 중단을 검토하라는 지시를 했다는 겁니다. 당시 실무 직원들은 이 지시를 거부하기 어려운 분위기였다고 감사원에 털어놨습니다.
이어서 조덕현 기자입니다.
[리포트]
문재인 대통령 / 고리 1호기 영구정지 선포식 (2017.6.19)
"수명을 연장하여 가동 중인 월성 1호기는...가급적 빨리 폐쇄"
문 대통령의 발언 이후, 한수원은 부득이하게 조기폐쇄를 결정해도 영구정지가 결정될 때까지는 더 운영하는 것이 유리하다는 의견을 산업부에 전달했습니다.
하지만 감사원 조사 결과, 2018년 4월 백운규 당시 산업부 장관은 조기 폐쇄 결정과 동시에 가동 중단하는 방안을 검토하라고 지시했습니다.
백 전 장관의 지시 이후 경제성 평가가 불합리하게 이뤄졌다는 게 감사원의 판단입니다.
특히 감사원은 당시 백 장관이 과장으로부터 청와대에서 벌어진 일을 보고받았다고 했습니다.
대통령 비서실의 한 보좌관이 월성 1호기를 보고 온 뒤, 청와대 보고망에 "외벽 철근이 노출됐다"는 글을 올렸고, 이에 대해 문 대통령이 "영구 가동중단은 언제 결정할 계획인지" 질문을 했다는 내용이었습니다.
감사원은 보고서에서 대통령비서실을 50여 차례 언급했지만, 청와대가 영향력을 행사했는지는 명확하게 밝히지 않았습니다.
감사원은 백 전 장관이 즉시 중단을 지시해 국가공무원법을 위배했다고 했지만 백 전 장관은 "조기 폐쇄는 한수원이 자율적으로 결정한 것"이라는 입장입니다.
청와대도 "월성1호기 폐쇄에 대해 일체 관여하거나 지시한 바 없다"고 밝혔습니다.
TV조선 조덕현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