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미국과 유럽에서 잇따르는 금융기관 파산 사태는, 갑자기 찾아온 고금리 시대가 은행에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특히 실리콘 밸리 은행은 가장 안전하다는 미국 국채에 투자하고도 파산을 피하지 못 했는데 그렇다면 우리나라는 어디가 가장 취약한지 정준영 기자가 전문가들에게 물어봤습니다.
[리포트]
지난달 대우건설은 울산의 주상복합 프로젝트 파이낸싱(PF) 사업을 포기했습니다.
시공사로서 보증을 섰던 후순위 '브리지론(고금리 단기대출)' 440억원을 자체 자금으로 갚으면서 발을 뺀 겁니다.
지난해 레고랜드 사태 당시 위기의 진앙지로 우려를 샀던 부동산 PF가 최근 다시 금융시장의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미국 실리콘밸리 은행 등 곳곳의 금융기관이 갑작스런 파산에 직면하자 우려가 급등한 겁니다.
권대중 /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
"미분양 증가는 건설사의 건축비 충당이 어려워지고 PF 이자도 못 낼 가능성이 있습니다. 그러면 건설사가 어려워질 수 있고요."
특히 비은행권이 '약한 고리'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비은행권 부동산PF 노출액은 약 200조원.
저축은행의 부동산PF 연체율은 1년 새 2배 올랐습니다.
부동산PF 사업장에서 위기가 터지면 예금 대량 인출, '뱅크런'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습니다.
실제 대구에선 한 중견 건설사가 오피스텔 공사를 중단하자 피분양자들에게 중도금을 대출한 지역 새마을금고에서 일주일 새 예금 447억원이 빠졌습니다.
주원 / 현대경제연구원 실장
"금리가 계속 높은 수준이고 PF 쪽의 자금 경색이 지속된다면 저축은행 쪽의 뱅크런 가능성도 분명히 있다고…."
정부는 부실 우려가 있는 부동산PF 사업장에 대해 긴급 점검에 나섰습니다.
TV조선 정준영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