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이른바 수능 '킬러문항' 파장이 만만치 않습니다. 핵심은 특정 사교육의 혜택을 받지 않고는 도저히 풀 수 없는 문제를 만들고, 공급하고 학생들을 상대로 돈벌이를 하는 과정 전체가 매우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다는 점입니다. 학생들이 교육의 대상이 아니라 철저하게 돈벌이 대상으로 전락해 있다는 겁니다. 그런데 교육당국 조차도 이 현실을 방치하고 있습니다.
차정승 기자가 그 적나라한 실태를 취재했습니다.
[리포트]
수능 국어영역 모의고사 문제집을 펴내는 한 업체입니다.
수능 출제위원 출신들이 문제를 내고 현직 교사가 문제 검토에 참여했다며 "수능과 똑같다"고 광고합니다. 실제로 업체 대표 A씨는 수능 출제경험이 8차례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대입 수험생
"보통 찾을 때 그걸 먼저 찾았던 것 같아요. 출제위원이 냈다 그런 얘기나오면…."
입시학원 관계자
"모의고사(를 알리는) 포스터 왔으니까 필요한 사람 신청하라고."
해마다 수능 출제에 참여하는 교수와 현직 교사들은 400여명. 이들은 모두 출제에 참여한 사실을 알리지 않는다는 서약을 합니다.
그런데 "A씨가 서약서를 썼을 땐 위반 시 법적조치 규정이 없었다"며 "처벌할 근거가 없다"는 게 교육과정평가원의 입장입니다.
하지만 2016년 수능 모의고사 유출 사건으로 처벌 규정이 강화된 후에도 별다른 관리는 이뤄지지 않는 실정입니다.
송기창 / 숙명여대 교육학부 명예교수
"사후에 모니터링한다는 게 한계가 있고요. (출제위원들이) 암암리에 학원에서 강의를 한다든지 다 잡아낼 수가 없잖아요."
논란이 커지자 A씨가 대표로 있는 업체는 출제위원 경력을 광고해서 삭제했습니다.
TV조선 차정승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