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文정부가 北에 넘긴 한강해도에 '수심·암초' 정보 담겨…"대남 침투 활용 가능"
등록: 2024.04.24 08:05
수정: 2024.04.24 08:13
Loadingbar
[앵커]
문재인정부 시절 해수부와 국방부가 9.19 군사합의에 따라 한강 하구의 지형이 담긴 '해도'를 제작해 북한에 전달했습니다. 그런데 이후 이 자료가 3급비밀로 지정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됐습니다. 티비조선이 해도가 왜 비밀로 지정됐는지 취재를 해보니, 암초 위치부터 밀물과 썰물, 수심까지 민감한 정보가 모두 담겨있어 유사시 북한의 침투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태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측 조사선박이 다가오고, 북한 군인들이 우리측 선박으로 넘어옵니다.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김포부터 인천까지 한강 하구 수로를 조사하는 모습입니다.
윤창희 / 해병대 공동조사단장 (2018년)
"53년도 정전협정 이후에 65년동안 막혔던 수로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공동으로 조사."
이를 토대로 정부는 해도를 제작해 2019년 1월 북측에 넘겼습니다.
해수부 관계자
"암초라고 돼있는 것들은 수심으로 표현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도에 기본적으로 있는 조석 정보."
당시 공동조사단은 한 달여 동안 500m 간격으로 초음파를 쏴 해저지형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강 하구는 과거 무장간첩도 자주 드나들었던 주요 침투로 중 하나입니다.
문성묵 / 전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일방적으로 줬다고 하는 것은 군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우리의 안보를 위해할 수 있는 요인이 있다고 저는 봐요"
당시 9·19 군사합의와 공동수로 조사에 핵심 역할을 했던 김도균 전 수방사령관은 "1~2년만 지나도 지형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민감한 정보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TV조선 이태형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