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文정부가 北에 넘긴 한강해도에 '수심·암초' 정보 담겨…"대남 침투 활용 가능"
등록: 2024.04.24 08:05
수정: 2024.04.24 08:13
[앵커]
문재인정부 시절 해수부와 국방부가 9.19 군사합의에 따라 한강 하구의 지형이 담긴 '해도'를 제작해 북한에 전달했습니다. 그런데 이후 이 자료가 3급비밀로 지정됐다는 사실이 뒤늦게 알려져 논란이 됐습니다. 티비조선이 해도가 왜 비밀로 지정됐는지 취재를 해보니, 암초 위치부터 밀물과 썰물, 수심까지 민감한 정보가 모두 담겨있어 유사시 북한의 침투에도 활용될 수 있다고 합니다.
이태형 기자입니다.
[리포트]
북측 조사선박이 다가오고, 북한 군인들이 우리측 선박으로 넘어옵니다.
9.19 군사합의에 따라 남북이 공동으로 김포부터 인천까지 한강 하구 수로를 조사하는 모습입니다.
윤창희 / 해병대 공동조사단장 (2018년)
"53년도 정전협정 이후에 65년동안 막혔던 수로를 평화적으로 이용하기 위해서 공동으로 조사."
이를 토대로 정부는 해도를 제작해 2019년 1월 북측에 넘겼습니다.
종이로 된 해도 도면과 밀물, 썰물 관측자료가 포함됐는데, 암초 위치와 해안선, 수심과 해저지형 등 '민감정보'까지 전부 담긴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해수부 관계자
"암초라고 돼있는 것들은 수심으로 표현돼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도에 기본적으로 있는 조석 정보."
당시 공동조사단은 한 달여 동안 500m 간격으로 초음파를 쏴 해저지형을 파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한강 하구는 과거 무장간첩도 자주 드나들었던 주요 침투로 중 하나입니다.
문성묵 / 전 국방부 북한정책과장
"일방적으로 줬다고 하는 것은 군사적으로 민감한 정보를, 우리의 안보를 위해할 수 있는 요인이 있다고 저는 봐요"
당시 9·19 군사합의와 공동수로 조사에 핵심 역할을 했던 김도균 전 수방사령관은 "1~2년만 지나도 지형이 수시로 바뀌는 만큼, 민감한 정보로 보기 어렵다"고 설명했습니다.
TV조선 이태형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