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경제

부동산 PF에 5조원 긴급 수혈…"7조원대 부실 현장은 경매"

등록 2024.05.13 21:38 / 수정 2024.05.13 21:50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정부가 부동산 PF발 경제위기설 차단에 나섭니다. 투트랙으로 대책이 진행됩니다. 정상사업장은 시중은행과 보험사를 통해 신규자금 5조 원을 투입하고, 7조 원에 이를 것으로 보이는 부실 사업장은 경매에 넘기로 했습니다.

윤태윤 기자입니다. 
 

[리포트]
대규모 업무시설이 들어설 서울 성수동 공사현장입니다.

시공사인 태영건설의 워크아웃으로 공사가 중단됐지만, 정부가 사업성이 있다고 판단해 600억원을 투입했습니다.

정부는 이처럼 사업성이 충분한 사업장엔 차질없이 자금을 공급해 정상화를 돕겠다는 계획입니다.

상대적으로 여력이 있는 시중은행과 보험사 10곳이 최대 5조원을 긴급 수혈할 예정입니다.

권대영 / 금융위원회 사무처장
"(건강검진을 진행한 후) 약도 먹고, 운동도 하고 해서 만성 질명으로나 악성 질병으로 가자는 거를 막자는 게 핵심이거든요."

반대로 사업성이 없는 부실 사업장은 빠르게 솎아냅니다.

이를 위해 PF사업장 등급을 3단계에서 4단계로 세분화하고, 대출 만기를 최소 3차례 연기한 사업장은 자율적인 매각을 유도하거나 경·공매로 넘길 예정입니다.

정부는 경·공매로 넘어갈 현장은 전체 부동산PF(230조)의 2~3%인 7조원에 이를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박상원 / 금감원 부원장보
"사업성 부족 대상 사업장은 대부분 브릿지론 및 토담대(토지담보대출) 사업장으로 건설사의 부담은 그리 크지 않을 것으로 판단되며…."

부동산업계에선 정부 대책으로 충격이 불가피하고, 5조원 수혈도 턱없이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TV조선 윤태윤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