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정치

대통령실 "7월 제출 보고서에 '지분 매각' 빠진다…日 불합리 조치 없어야"

등록 2024.05.14 21:02 / 수정 2024.05.14 21:06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한일관계에 치명적인 악영향을 미칠 것이 우려됐던 라인야후 사태가 일단락될 것으로 보입니다. 네이버측이 지분 매각을 하지 않겠다는 뜻을 밝히면서 우리 정부도 일본에 대해 불합리한 조치를 하지 말 것을 요구했습니다.

특히 네이버 측은 일본에 곧 제출하는 보고서에 현재 지배구조를 그대로 유지하겠다는 의사를 담아, 야권이 주장했던 라인 강탈론은 결과적으로 사실무근이 됐습니다. 야권의 주장 때문에 네이버가 지분을 팔지 않기로 한건지, 네이버의 속뜻은 뭐였는지 알기 어렵습니다만, 이번 사태를 통해 기업의 경영 행위에 대해 정부나 정치권이 어디까지 개입해야하는 건지, 그게 적절한지, 생각하는 계기가 됐으면 합니다.

오늘 첫 소식, 대통령실이 한일 갈등으로 불거질 뻔했던 라인 사태에 어떻게 입장을 내놓고, 일본에 대해 어떤 요구를 했는지부터 홍연주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라인 사태'와 관련해 연이틀 브리핑을 자청한 대통령실 성태윤 정책실장은 적절한 정보보안 강화 대책이 제출될 경우 일본 정부가 네이버에 불리한 조치를 취해서는 안된다고 경고했습니다.

성태윤 / 대통령실 정책실장
"자본구조와 관련되어 네이버의 의사에 배치되는 불리한 조치를 취하는 일이 절대 있어서는 안 될 것입니다."

곧이어 대통령실은 "라인야후가 일본 정부에 7월 1일까지 제출해야 하는 개인정보 유출 재발 방지책 보고서에 '지분 매각안'을 포함하지 않기로 했다"고 밝혔습니다.

당장 지분을 매각하진 않을 거란 네이버의 입장을 확인했으니, 일본 정부를 향해선 이를 압박하지 말라는 메시지를 공개적으로 발표한 겁니다.

윤석열 대통령은 앞서 "반일 감정을 부추기는 건 우리 기업의 권익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했지만, 야당은 '반일 공세'를 오늘도 이어갔습니다.

진성준 /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윤석열 대통령은 지금이라도 기시다 총리에게 직접 전화를 걸어서 '자본 관계를 재검토하라는 행정조치를 철회하라' 이렇게 요구하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네이버가 서둘러 지분을 매각하진 않기로 하면서, 정치권 공방도 일단락될 전망입니다.

집권 자민당 사정에 정통한 김윤 한일경제협회장은 "일본 정부도 두 기업의 자본 관계 재검토에 관여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라고 전했습니다.

TV조선 홍연주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