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사회

검찰 인사 논란, '전현 권력' 동시 수사로 돌파?

등록 2024.05.16 21:17 / 수정 2024.05.16 21:22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검찰 인사 논란이 정치권은 물론 국민들의 관심을 받고 있죠. 검찰 취재하는 이재중 기자와 이야기 더 나눠 보겠습니다. 이원석 총장과 이창수 중앙지검장이 오찬을 했다고 하던데 분위기는 어땠습니까.

[기자]
네, 첫 날 분위기는 나쁘지 않았습니다. 이 지검장은 기자들과 만난 자리에서 김건희 여사 소환조사에 대해 가능성을 열어놓으면서 이원석 총장의 방침에 부합하는 태도를 보였습니다. 이 지검장은 김 여사 관련 사건을 수사하는 형사 1부와 반부패수사2부 부장검사들로부터 대면보고를 받았습니다. 다만 이 총장은 새로 부임한 검사장들과 오찬에서 "인생길은 꽃길이 아니라 가시밭길"이라며 "신임 검사장 여러분을 마냥 축하만 할 수 없는 어려운 환경"이라고 했습니다. 

[앵커]
잠시 소강상태로 봐야겠군요. 그런데 여권에선 이 총장이 김 여사 수사만 속도를 내고 이재명 대표 부인 김혜경씨나 문재인 전 대통령 부인 김정숙 여사 수사는 손을 놓고 있다는 불만도 작용한 걸로 보이는데요.

[기자]
네. 검찰은 지난 2월 김혜경 씨를 '법카 유용' 의혹과 관련한 공직선거법 위반 혐의로 재판에 넘겼습니다. 하지만, 법카 유용 의혹 중 '10만 4000원 사용'에 대한 기소만 했고, 이후로도 별다른 처분 없이 수사는 계속 답보 상태입니다. 김정숙 여사 관련 사건 수사는 더 더딘데요. 지난해 말 한 시민단체가 김 여사의 2018년 인도 방문에 대해 국고 손실로 검찰에 고발했는데, 서울중앙지검 형사 1부에 사건이 배당된 뒤 진척이 없는 상황입니다. 형사1부는 아시다시피 김건희 여사 명품수수논란 전담수사팀이 꾸려진 곳이기도 합니다. 김건희 여사 명품 수수 논란도 지난해 12월 고발이 접수됐지만, 반년 만에 전담수사팀이 만들어졌고,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사건도 지난해 2월, 공범들이 1심 재판에서 유죄를 선고받았지만, 김 여사 대면 조사는 아직입니다. 검찰이 이들 세사람 수사를 빨리 하지 않은게 불필요한 논란을 자초했고, 결국 정권에도 부담이 됐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앞서 문 전 대통령 사위 수사 관련 단독 보도를 전해드렸는데, 이창수 신임 중앙지검장이 전주지검장 시절에 본격화된 수사였죠.

[기자]
네 그렇습니다 이 사건은 전주지검에 2021년부터 있었는데; 작년 9월 이창수 지검장이 부임한 뒤 본궤도에 올랐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검사장을 따라 서울로 수사를 가져와야 한다는 논의가 있습니다.

이창수 / 서울중앙지검장
"그 문제는 제가 혼자 결정할 수 있는 문제는 아니고 또 인사와 관계 없이 누가 맡더라도 여튼 그 사건은 제대로 수사가 될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이 경우 야당의 강한 반발이 예상됩니다.

[앵커]
네 지켜봐야겠군요. 이 기자 수고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