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경제

"2030년 입주" 속도 낸다지만…공사비 급등·이주대란 '변수'

등록 2024.05.22 21:04 / 수정 2024.05.22 21:09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넘어야할 산은 있습니다. 정부는 인허가 절차를 최소화해 6년 뒤인 2030년에는 입주할 수 있게 하겠다는 건데, 공사비가 너무 올라 사업성이 있을지, 한꺼번에 재개발을 추진할 때 우려되는 이주대란, 해결해야 할 숙제입니다.

이어서 고희동 기자입니다.
 

[리포트]
재건축을 추진중인 경기도 분당의 한 아파트. 주민들은 올해안에 선도지구를 지정한다는 소식에 기대감을 드러냅니다.

이태열 / 아파트 주민
"기대가 많이 되죠. 일반 재건축은 이야기 들어보면 절차도 복잡하고 시간도 많이 걸리고…."

정부도 속도전을 약속하고 있습니다.

박상우 / 국토교통부 장관
"특별법을 통해서 그런 사전 절차를 대폭 단축시켰기 때문에 2027년에 첫 번째 착공이 이루어지면... 2030년에는 입주가 가능하다…."

하지만 현실과 동떨어진 계획이라는 비판도 나옵니다.

공사비 급등으로 땅값이 비싼 강남 재건축도 사업성이 나오지 않은 상황에서 1기 신도시 재건축이 순탄치만은 않을 거란 지적입니다.

이은형 /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연구위원
"관건이 (조합원) 추가 분담금에 달려있기 때문에 계획된 시간에 전체 사업이 마무리 될 것으로는 보기 쉽지 않습니다."

재건축 단지 주민들이 대거 이주하면서 인근 집값과 전세값이 치솟을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옵니다.

1기 신도시 주민
"이 근처는 워낙 전세가도 비싸고, 그리고 마땅히 주변에 갈만한 곳도 없는 것 같아서. 어디로 가야 될지…."

추진단계에서 주민들의 각기 다른 이해관계를 조정해야 하는 숙제도 남아있습니다.

TV조선 고희동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