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정치

이재명 "소득대체율 44~45% 타협하자" 연일 연금개혁 압박…野 "영수회담 용산이 거절"

등록 2024.05.24 21:02 / 수정 2024.05.24 22:04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21대 국회가 다음 주 중순이면 끝나는데, 이재명 민주당 대표가 던진 연금개혁안 처리 주장이 정치권을 강타했습니다. 어제는 야당이 제시했던 소득대체율 45%를 여권의 제안이라며 받아들이겠다는 식으로 말하더니, 오늘은 44%까지도 가능하다며 여권을 압박했습니다.

윤석열 대통령과 만나자고도 했지만, 대통령실은 22대 국회에서 좀 더 신중하게 논의해달라는 입장을 내놓았습니다. 단순히 수치뿐만 아니라 근본적인 문제까지 다뤄야한다는 주장이기도 한데, 국민 입장에선 뭐가 그리 큰 차이냐는 말이 나올 수밖에 없습니다. 이번 기회에 쉽지 않은 연금개혁을 일단은 시작해야 한다는 주장이 일부 여권에서도 나오는 상황이라 여권 지도부의 속내는 복잡합니다.

연금개혁을 놓고 이 대표의 속내는 뭔지, 여권은 무슨 생각인지, 남은 쟁점이 뭐가 있는지, 하나하나 짚어드릴텐데, 먼저 최원희 기자가 여야의 주장부터 전합니다.
 

[리포트]
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얼마나 더 받을지'를 뜻하는 소득대체율도 타협할 의사가 있다며 21대 국회에서 연금개혁을 마무리짓자고 거듭 제안했습니다.

이재명 / 더불어민주당 대표
"44%와 45% 사이의 타협할 의사가 명확하게 있습니다. 양자가 만나든 또는 여야 대표와 대통령 3자가 만나든 이제 결단해야 될 때입니다" 

민주당은 당초 현행 40%인 소득대체율을 45%까지 높이자는 입장이었지만 한발 물러서며 협상 여지를 두겠다는 겁니다. 소득대체율 43%를 주장해온 국민의힘은 지난 10일 44%를 조건부 타협안으로 제시했었습니다.

민주당은 '정부가 45%를 제시한 적이 없는데도 거짓말을 했다'는 여당 반박엔 "실무적으로 제시한 바 있다"고 재반박했습니다.

다만 구체적으로 누가 제안했는진 밝히지 않았습니다.

민주당은 대통령실이 회담 제안을 거절했다고 했지만,

천준호 / 더불어민주당 대표 비서실장
"대통령과 정부가 논의 과정에 지금은 함께하긴 어렵다(고 전해 왔습니다.) 사실상 거절한 것이어서 무척 안타깝게 생각합니다"

대통령실은 "여야가 협의해 결정할 사안"이라고 했습니다. 

이재명 대표가 연일 연금개혁 처리 압박에 나선 건 해병대원 특검법 등 정쟁 이슈만 밀어붙인단 비판을 염두에 둔 거란 관측도 나옵니다.

TV조선 최원희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