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사회

화성 화재는 인재가 낳은 참사…안전 불감증이 피해 키웠다

등록 2024.06.26 07:38 / 수정 2024.06.26 10:10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이번 리튬배터리 공장 화재, 안전 불감증에서 비롯된 ‘인재’였다는 지적이 나오는데요, 뭐가 이렇게 피해를 키운 건지, 사회부 전정원 기자와 자세한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 전 기자, 해당 공장에서 불이 난 게 이번이 처음이 아니었다고요?

[기자]
네 그렇습니다. 참사 이틀 전에도 화재가 있었습니다. 불이 난 공장에서 20여m 떨어진 건물에서 불이 났었는데요, 당시에도 리튬 배터리 때문이었습니다. 당시 작업자가 불량품으로 구별해 놓은 리튬 배터리를 조치하는 과정에서 배터리가 과열돼 불이 났던 걸로 전해졌습니다. 이 때는 다행히 빠르게 불길을 잡으면서 큰 사고로 이어지진 않았는데, 당시 회사 측이 소방당국에 별다른 신고를 하지 않은 채 넘어갔던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박중언 / 아리셀 본부장 (어제)
"자체적으로 문제가 없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작업을 재개해도 문제가 없다고, 저희는 진압을 취한 후에 생산을 진행했습니다."

일각에선 제품 검수 등 추가 조치가 있었다면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었던 것이 아니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

[앵커]
이 업체가 소방 설비를 제대로 갖추지 않았다는 논란도 있어요. 

[기자]
네, 실제로 해당 업체가 과거 두 차례 소방기준을 위반해 적발된 사실도 드러났습니다. 2019년엔 이 공장에 허용량의 20배가 넘는 리튬을 보관하다 벌금 처분을 받았고요. 이듬해엔 공장 내 일부 소방시설 작동이 불량하다는 이유로 시정 명령을 받기도 했습니다. 불이 난 공장은 스프링클러가 없었고, 소화전과 일부 자동화재 설비만 있었던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앵커]
작은 불씨로도 대형 사고로 이어지기 쉬운게 리튬 배터리인데, 관리엔 문제가 없었습니까?

[기자]
소방당국은 화재가 발생한 공장에 리튬 배터리 3만 5000여개가 대량으로 쌓여 있던 것으로 파악했는데요, 이 리튬 배터리는 유해물질이 아닌 일반화학물질로 분류가 됩니다. 하지만 조금의 충격이나 높은 온도에 노출로 큰 폭발이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대형 사고로 이어질 수 있음에도 현행법상 별다른 대응 매뉴얼이나 안전관리 기준이 없는 게 문제로 꼽힙니다. 이번 화재에 드러났지만 리튬 배터리 화재는 물로 끌 수 없어 방화사 등 전용 특수 소방기구가 필요한데, 이 역시 충분히 비치되지 않아 피해를 키운 것으로 지적됐습니다.

[앵커]
그렇군요. 앞으로 희생자들의 분향소는 어떻게 운영이 됩니까?

[기자]
네 사고 이틀만인 어제 경기 화성시청에 분향소가 마련이 됐는데요. 아직 희생자들의 영정사진조차 제대로 놓이지 않고 있습니다. 사망자 대부분의 시신이 심하게 훼손돼 성별조차 알아보기 힘들 정도로 신원 확인이 어렵기 때문인데요. 경찰은 국립과학수사연구원과 함께 앞으로 3일간 사망자들에 대한 DNA 긴급감정에 나설 계획입니다. 경기도와 화성시 등은 신원이 확인되고, 유가족 동의를 받는 대로 시청이나 역 주변에 합동 분향소를 설치해 운영한다는 계획입니다.

[앵커]
리튬 배터리 사용이 계속 늘고 있는데, 이번 화재를 계기로 관련 대비책이 단단히 마련돼야 할 것으로 보이는 군요. 전정원 기자, 잘 들었습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