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사회

보호소 가도 절반은 사망…"안락사시켜 돈 버는 구조 바꿔야"

등록 2024.08.04 19:27 / 수정 2024.08.05 10:06

  • 페이스북
  • 트위터
  • 이메일보내기
  • URL복사


[앵커]
살리기 위해 보내는 보호소가 동물의 무덤이 되고 있는게 현실입니다. 지자체가 관할하는 보호소에서도 절반만 살아남는데, 안락사를 시켜야 보호소가 수입을 얻는 구조적인 문제가 있습니다.

이어서 신경희 기자입니다.
 

[리포트]
최근 폐업한 택시회사 사무실입니다.

안으로 들어가니 버려진 집기류와 깨진 유리조각 사이에 개 한 마리가 앉아 있습니다.

인기척을 듣자, 꼬리를 흔들며 반갑게 다가옵니다.

인근 주민
"여기 택시회사에서 기르던 개인데, 이사하면서 다 버리고 간 거예요."

이 개처럼 버려졌다가 구조된 동물들은 유기동물 보호소로 들어가 삶과 죽음, 기로에 섭니다.

지난해 전국에서 구조된 동물 11만 3000여 마리 가운데 주인을 찾은 경우는 40% 미만.

나머지 절반가량은 자연사하거나 안락사 처리됐습니다.

군청 유기동물 보호소 관계자
"저희도 입양 잘 가면 (안락사) 안 시키죠. 입양 안 가는 경우에, 여기 꽉 찼을 경우에…."

현재 전국 동물보호소는 지자체 직영과 민간 위탁을 합해 228곳.

여기에 한 해 예산 374억 원이 투입되는데, 치료비 없이 포획비와 안락사비 등만 책정돼 있는 상황입니다.

김세현 / (사)비글구조네트워크 대표
"새로운 애들을 계속 데리고 와야지 돈이 되는 그런 위탁구조가 이익구조기 때문에, 빨리빨리 안락사를 시키고 그런 시스템이 문제인 거죠."

특히, 보호소의 70%를 차지하는 민간 위탁 시설은 관리·감독의 사각지대란 지적입니다.

TV조선 취재가 시작되자 농림축산식품부는 점검에 나서기로 했습니다.

TV조선 신경희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