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가 반도체, 로봇, 인공지능(AI) 등 글로벌 첨단기술 패권 경쟁이 치열한 분야에 대한 투자를 대폭 확대한다.
분야별 초격차 프로젝트에는 배터리 안전 기술, 차세대 핵연료 등 신기술과 제품이 추가됐다.
산업통상자원부와 산업통상자원전략기획단은 5일 서울 중구 대한상공회의소에서 제3차 전략기획투자협의회를 열고 ▲ 2026년 신규 사업 기획 방향 ▲ 초격차 프로젝트 조정안 ▲ 2025년 신규 과제 기획 추진 등의 3개 안건을 심의했다.
전략기획투자협의회는 민관이 함께 산업·에너지 연구개발(R&D) 투자전략을 논의하는 자리로 올해 3월, 5월에 이어 세 번째다.
우선 오는 2026년 정부 예산 편성을 앞두고 R&D 신규 사업 가운데 반도체, 로봇, AI 등에 대한 투자를 큰 폭으로 늘리기로 했다.
또 11개 분야별 초격차 프로젝트에 전기차 화재 대응을 위한 배터리 안전 기술, 농축도가 높은 차세대 핵연료, 액체수소운반선 기술, 산화갈륨 반도체 등 새로운 기술과 제품을 추가했다.
한국산업기술기획평가원, 한국산업기술진흥원, 한국에너지기술평가원 등 3개 전문기관이 내년도 신규 과제 기획 현황을 발표하고 투자 내용에 대해서도 심의했다.
2025년에 약 1190개, 8500억원(정부안 기준) 규모의 신규과제가 추진되며 주로 초격차 프로젝트 이행, 산업난제 극복, 소부장 내재화,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제조·연구개발 등을 위한 과제들이 포함됐다.
전략기획단은 현재 산업부 연구개발(R&D)의 2.8% 수준에 불과한 AI 분야 투자를 확대하고 산업현장 전문인력 양성, 데이터 플랫폼 구축, 공동활용 솔루션 공급 등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