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천 프로그램

설정

  • 알림 수신 설정

  • 마케팅 수신 여부 설정

  • 모바일 네트워크 설정

    동영상 시청 시 모바일 데이터 사용을 허용합니다.

    데이터 사용량에 따라 통화료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서비스 이용 약관

APP버전

3.0.1

스크랩 되었습니다.

바로가기

알림

수신된 알림이 없습니다.

사회전체

의대생 '무더기 제적' 가능성…의료계, 제적 시한 연기 요청 검토

  • 등록: 2025.03.26 15:47

  • 수정: 2025.03.26 16:46

/연합뉴스
/연합뉴스

전국 의대의 등록 마감과 제적 예정 통보가 줄줄이 이어지며 '무더기 제적'이 현실화할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자 대책을 서둘러 마련해야 한다는 의료계 내부의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대한의사협회는 정부와 대학에 제적 시한 연기를 요청하는 방안을 고려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6일 의료계에 따르면 지난 21일 등록을 마감한 연세대의 경우 총 881명 중 398명에게 제적이 통보된 것으로 알려졌다. 24일 등록을 마감한 전남대는 올해 기준 총원이 893명인데, 제적 예정자가 650명에 이른다.

이처럼 대거 제적이 예상되자 의대 교수들은 물론 학생들 사이에서도 복귀해야 한다는 취지의 소신 발언들이 잇따라 나오고 있다.

지난 24일 의협 포럼에서 강석훈 강원대 의대 교수는 "투쟁은 교수가 할 테니 학생들은 이제는 돌아와 실리를 챙길 때"라고 말했다.

25일에는 고려대 의대 전 학생대표 5명이 실명을 내걸고 "더 이상 불필요한 시선 없이 자신의 거취를 결정할 자유를 충분히 보장받아야 한다"는 내용의 입장문을 냈다. 복귀 의대생들의 자유의사가 존중받아야 한다는 취지로 읽힌다.

아직 등록을 마감하지 않은 의대는 학생 복귀를 위한 총력전을 펼치고 있다.

서울대 의대 학장단은 25일 의대생과 학부모를 향해 "더 이상 망설일 시간이 없다. 복귀 시한 이후에는 학생 보호라는 의대 원칙과 다른 심각한 상황을 맞이할 수도 있으니 부디 복귀해달라"고 재차 호소했다.

다른 의대들 역시 서한은 물론 개별 면담 등을 통해 설득을 이어가고 있다.

이동욱 경기도의사회 회장은 24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의협이 책임 있는 결정을 해야 하는데 아무것도 하지 않고 시간만 끌면서 피해를 극대화하고 있다. 자해행위나 마찬가지"라며 "아무도 위기에 처한 의대생을 도와줄 계획이 없다면 앞길이 창창한 의대생들은 그만하고 돌아가라고 하는 것이 어른의 도리"라는 글을 올렸다.

이런 압박에 의협은 정부에 제적 시한을 연기해 달라고 건의하는 방안을 대안 중 하나로 검토하고 있다.

의협은 이날 열리는 상임이사회에서 이를 논의할 것으로 알려졌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TV조선 뉴스는
여러분과 함께 나아갑니다.

소중한 제보와 함께 가치 있는 뉴스를 만들겠습니다.

제보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