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외국산 자동차에 대한 25% 관세 부과 방침이 일론 머스크의 자동차 제조기업 테슬라에 호재가 될 것이라는 전망이 나온다.
현지시간 26일 일간 뉴욕 타임스는 이날 트럼프 대통령의 자동차 관세로 테슬라가 '승자'가 될 수 있으며 적어도 경쟁사보다 피해를 덜 입을 수 있다고 관측했다.
테슬라는 미국에서 판매하는 모든 차량을 캘리포니아주와 텍사스주 등 미국 내에서 생산한다. 따라서 수입 완성차에 부과되는 25% 관세를 낼 필요가 없다.
물론 자동차 부품에도 25%의 관세가 붙기 때문에 테슬라도 생산 비용 상승은 피할 수 없을 것으로 보인다. 배터리 등 부품들을 외국에서 수입해서 사용하기 때문이다.
하지만 전반적인 가격 경쟁력 면에선 우위를 점할 가능성이 높다는 관측이다.
다만 "그는 나에게 사업과 관련해 어떤 부탁도 한 적이 없다"며 머스크가 자신의 관세 부과 결정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고 선을 그었다.
머스크는 자신의 엑스에 올린 글에서 "명확히 말하자면, 관세는 테슬라 차량의 외국산 부품 가격에 영향을 미친다"며 "비용에 끼치는 영향이 적지 않다"고 강조했다.
전문가들은 이번 관세 조치로 자동차 가격이 수천 달러까지 오를 수 있다고 관측한다.
시장조사업체 번스타인은 이번 관세로 자동차 제조업체는 연간 750억 달러, 우리돈 약 110조 원을 추가 부담하게 될 것이며 그 비용은 소비자들에게 전가될 것이라고 전망했다.
자동차 가격 상승은 가격 민감도가 높은 중저가 모델의 판매에 특히 타격을 줄 수 있다.
뉴욕타임스는 관세가 부과되면 한국에서 생산되는 GM의 소형SUV 쉐보레 트랙스와 같은 저가 모델에 대한 중산층 구매자의 접근성이 더욱 떨어질 것이라고 짚었다.
또 폭스바겐이 최대 피해기업 중 한 곳이 될 수 있다고 관측했다.
폭스바겐은 미국 테네시주에서 SUV 아틀라스와 전기차 ID.4를 생산하지만, 세단인 제타 모델은 멕시코 공장에서 제조한다.
폭스바겐의 브랜드 아우디 역시 멕시코·유럽에서 생산한 자동차를 미국에서 판매하며, 폭스바겐 자회사 포르쉐도 모든 자동차를 유럽에서 들여온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