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지난해 5월 한국의 우주·항공 산업을 이끌 우주항공청이 출범했습니다. 당시 연구개발 총괄 자리에 한국계 미국인 전문가 2명을 채용해 기대를 모았느데, 이들이 미국 정부에 활동 내용 일부를 보고한 것으로 확인돼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주원진 기자가 전합니다.
[리포트]
한국 우주항공청은 지난해 5월 첫 출범하며 우주항공임무본부장에 존 리 씨를 임명했습니다
존 리 / 우주항공임무본부장 (지난해 5월)
"하나만 만들면 정부에서 만들지만 100개를 만들게 되면 그것은 산업체로 넘길 수 있거든요."
지난해 8월에는 연구 개발을 총괄하는 항공혁신부문장에 김현대 씨를 임명했습니다.
두 사람 모두 '미 항공우주국' 나사 출신의 미국 시민권자입니다.
리 본부장은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가 설립한 스페이스X 관계자를 접촉해 협업을 논의한 것과, 나사 연구원들과 주고받은 문자, 이메일 내역 등을 보고했습니다.
김 부문장도 자신의 급여를 포함해 미국 보잉사 기술자 등 인사와 소통한 내용 등 10여 건을 보고한 것으로 파악됐습니다.
이들의 보고는 1938년 제정 된 미국의 '외국 대리인 등록법'에 따른 것인데, 보고 내용이 미 법무부 홈페이지에 공개 돼 '우리 우주항공청 보안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총괄 책임자의 접촉 인사 등 면면을 분석하면 우주항공청 관심사와 한미 협력 내용 등 윤곽이 드러날 수 있다는 겁니다.
리 본부장은 지난해 8월 한 언론에 "기밀 등이 들어가지 않도록 미국에 자료 제출 전 확인 절차를 거칠 것"이라고 해명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TV조선 주원진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