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산불 이재민 3000여 명의 집 없는 생활도 길어지고 있습니다. 정부가 임시 주택을 서둘러 마련하고 있지만, 이재민들이 모두 입주하기엔 아직 턱없이 부족합니다.
노도일 기자입니다.
[리포트]
회색 철판으로 된 직사각형의 모듈러 주택 설치가 한창인 경북 안동시의 한 공터. 작업자들이 외벽에서 에어컨 실외기를 설치하고, 건물 자재를 실어 나릅니다.
공사 관계자
"안에 거 다 뜯고 안에 내장 작업을 다시 하는 단계거든. 이게 학교용이라서 주택으로 하기에는 안 맞아서…"
이 모듈러 주택이 열흘 정도 안에 완공이 되면 16가구를 수용할 수 있습니다.
이번 산불로 직격탄을 맞은 경북에서 현재 작업중이거나 완공된 모듈러 주택과 임시 조립 주택은 총 32개 동으로, 3천명이 넘는 이재민을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입니다.
이재민
"그게 걱정되죠. 사람이 편하게 지내면 좋은데 (임시주택) 숫자가 좀 모자란다고 하니까"
이재민
"집이나 뭐 하나 컨테이너라도 닦아보고 갖다 놔야 거기 가서 하지 여기 있으니 불편하겠어. 집이 중요하지."
전국에 있는 임시 주택 설치 회사에 모두 발주를 넣는다면 한 달에 2000개 공급이 가능할 것이란 전망도 나왔지만, 동시 제작에 들어갈 경우 자재 조달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어 이마저도 확실치 않습니다.
경북도청 관계자
"한꺼번에 자재라는 것을 주문을 넣었을 때도 그것이 가능한지는 저희가 시장 수급 동향까지는 알 길이 없어가지고…."
정부와 지자체는 우선 리조트와 단체시설 등과 연계를 확대해 이재민들의 생활 불편을 최대한 줄이겠다는 방침입니다.
TV조선 노도일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