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adingbar
[앵커]
미국의 합참의장 후보자가 북한의 장거리 미사일과 핵 프로그램을 즉각적인 안보 도전으로 지목했습니다. 그러면서도 주한, 주일 미군 규모를 평가하겠다고 했는데, 미국의 초점이 중국 대응에 맞춰지면서, 주한미군 재조정 가능성도 커지고 있습니다.
변재영 기자입니다.
[리포트]
미군 최고직인 합동참모본부 의장의 인사청문회장. 댄 케인 후보자가 북한과 중국 등의 현지 시각을 언급합니다.
댄 케인 / 미국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
“베이징은 오후 9시 48분, 테헤란은 오후 6시 48분, 모스크바는 오후 4시 48분, 평양은 오후 10시 48분입니다.”
적들이 발전하고 있다면서 한 말인데, 안보 위협에 대한 군의 빠른 대응을 역설한 겁니다.
주한미군 감축 관련 질문엔 북한의 핵 미사일과 사이버 공격 능력이 미국을 위협하고 있다고 답했습니다.
북한 대응을 강조하면서도, 주한 미군의 역할과 규모 면에서 조정 가능성 역시 열어뒀단 분석입니다.
케인 후보자는 전세계적 핵 위협 증가와 중국의 도전을 심각하게 거론했습니다.
댄 케인 / 미국 합동참모본부 의장 후보자
"전세계 핵 위협이 커져 억제가 중요합니다. 미군은 긴급 조치와 대응 변화가 필요합니다"
앞서 헤그세스 미 국방장관이 내부 지침에서 중국이 미국의 유일한 위협이라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입니다.
피트 헤그세스 / 미국 국방부 장관
"일본은 공산주의 중국의 침략을 억제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될 동맹입니다."
이 때문에 트럼프 정부가 중국 대응을 우선시 할 경우, 주한, 주일 미군의 역할 변경도 불가피하단 관측도 나오고 있습니다.
TV조선 변재영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