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전 국가 상호관세 부과 발표에 베트남과 태국 등 동남아 각국이 3일(현지시간) 충격에 빠졌다.
미국은 베트남에 관세율 46%, 라오스에 48%, 캄보디아에 49% 등 세계 최고 수준의 관세를 부과했다.
태국에는 36%, 인도네시아에도 32%의 높은 관세율이 부과됐다.
미국은 관세율 부과의 자세한 근거를 공개하지 않았다.
다만 그간 중국이 동남아를 대미 우회 수출의 주요 통로로 활용해온 것과 무관하지 않단 분석이 나온다.
동남아는 트럼프 1기 행정부 당시 미중 무역전쟁에서 큰 혜택을 얻었다.
미국의 대중 관세 장벽을 피해 중국 기업을 비롯해 세계 각국의 기업들이 생산기지를 베트남 등 동남아로 옮겼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베트남은 삼성전자부터 미국 애플·인텔·나이키 등 중국 비중을 낮추려는 세계적 브랜드의 제품 생산을 끌어들여 고도성장을 누려왔다.
트럼프의 상호 관세 부과를 앞두고는 베트남 정부가 나서서 미국산 상품 구매를 약속하는 등 선제적으로 대응했다.
그럼에도 초고율 관세가 부과되자 베트남은 증시가 한때 5% 이상 급락하는 등 충격에 빠진 모습이다.
블룸버그는 베트남이 트럼프 행정부에 '매력 공세'를 펼쳤지만, 46%의 초고율 관세를 막지 못했다고 평가했다.
이어 베트남의 최대 수출 시장인 미국의 관세가 올해 성장률을 8%로 끌어올리겠다는 베트남의 목표를 크게 훼손할 수 있다고 관측했다.
대규모 대미 무역흑자를 내는 태국도 상호관세율이 36%에 달해 타격이 불가피할 전망이다.
로이터통신 등에 따르면 태국 상무부는 앞서 상호관세로 인한 수출 손실이 70억∼80억 달러(약 10조 3천억∼11조 7천억 원)에 달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태국 정부는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인하와 동시에 미국산 수입을 늘리는 방안을 검토 중인 것으로 전해졌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