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뉴스9

"직장 필요 없어요" '쉬는 청년' 40만 시대…일터 떠나 어디로?

등록 2024.06.24 21:41

수정 2024.06.24 22:20

[앵커]
일하지 않고 그냥 '쉬는 청년'들이 40만 명에 육박하고 있습니다. 취업난과 함께, 미래 보단 현재를 중요시하는 젊은 세대들의 성향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거란 분석입니다.

송무빈 기자가 젊은 세대 목소리를 직접 들어봤습니다.
 

 

[리포트]
아픈 데 없이 건강한 30대 A씨. 한창 일할 나이란 생각에 서빙과 판촉 등 아르바이트를 해봤지만, 고된 업무와 스트레스를 견디지 못하고 그만뒀습니다.

유일한 수입원인 인터넷 방송마저도 월 60만 원 목표치를 채우면 더 이상 하지 않습니다.

A씨
"확실하게 돈을 많이 벌거나, 내가 재밌거나 (해야 하는데)어중간하게 그냥 중소기업에서 200만 원 받느니 하고싶은 거 해보는 거 괜찮지 않나 (생각하고)…꿈은 딱히 안 갖고 있는 것 같아요."

아예 구직활동을 않고 '그냥 쉬는' 청년들도 약 40만 명까지 급증해, 역대 두번째로 많았습니다.

쿠팡이나 배민과 같은 각종 플랫폼이 발달하면서 일하고 싶을때만 일하는 청년들도 있습니다. 일명 '프리터족'입니다.

정조 / 플랫폼 배달기사
"플랫폼으로 하다 보니까 자유롭습니다. (다만) 꾸준하게, 성실하게 하기가 힘들지 않나…."

전문가들은 취업난이 심해지는데다, 직장 상사와의 관계 형성을 부담스러워하는 젊은 세대들이 늘어나면서 이런 현상이 생겨난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문유진 / 복지국가청년네트워크 대표
"임금 문제가 있는 것 같고요. (직장내) 불합리함에 대해서 참지 않고 이직을 선택하거나 잠시 쉬는 기간을 갖거나 하는 것 같아요."

평생 직장이란 개념은 점점 퇴색하고 있지만, 청년들에게 양질의 일자리를 공급할 특단의 대책도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TV조선 송무빈입니다.

Copyrights ⓒ TV조선.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제보하기